-
-
남양 섬에서 살다 : 조선인 마쓰모토의 회고록
발행연도 - 2017 / 조성윤 엮음 / 당산서원
-
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
-
자료실
[영종하늘]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YS0000035556
-
ISBN
9791196001612
-
형태
297 p. 21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전기
>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한국사
>
개화기/일제시대
책소개
1세대로 남양군도 여러 섬에서 생활한 전경운의 회고록. 그의 회고록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1939년부터 1945년까지의 남양군도 시절 이야기이다. 두 번째는 1945년 수용소 캠프 시절부터 1951년 티니언섬에 정착하기까지의 과정을 적었다. 마지막 세 번째가 티니언에서 농업에 종사하던 이야기였다.
목차
남양군도 연구에서의 회고록의 가치
회고록 서문(1981년)
회고록 서문(1995년)
어린 시절 회고
만주로 가기 위해 중국어를 배우는 단기대학으로 가다
동경고등척식학교
만주의 꿈은 수포가 되고 귀향
고향을 등지고 일본으로
남양무역에 입사
사이판 지점으로 전근사령(轉勤辭令)을 받고
사이판섬에 상륙하여 상하(常夏)의 나라를 구경하다
파간섬으로 첫 부임사령(赴任辭令)을 받음
파간도(島) 상륙과 남양무역사무소
도민 인부들과의 충돌
파간섬에서 6개월 동안
자살한 오키나와 사람을 목격
일본인 하라(原))라는 자의 가면(假面)
사리간섬에서 3년을
사리간의 실태
양돈과 면화 재배의 실태
들쥐(野鼠) 퇴치(退治)
사사모토는 관리인일 뿐 나는 남양무역회사 사원 견습인
사사모토(笹本) 가족의 반목을 해소
인부들에게 오락을, 자녀들에게 간이초급 교육을
3년에 한 번인 귀성(歸省)이 연기되어 한 달 동안 사이판 지점에서
휴가,
돈 10 일여에 바닥
섬사람은 섬에서 먹고 살아갈 수가 있다.
아라마간섬으로 영전(榮轉)
신임(新任)된 후 새 출발을 구상
전쟁 시국 하에서 벗어난 이도(離島)는 평화의 나날이다
年中行事로 오락과 위안을
낚시와 쏠창 대회
즐거운 크리스마스와 설날을
종자 돼지 새끼 도살 사건
정사(情事) 혐의(嫌疑) 소동
손손 부락에서 일어난 감독 가족과 다른 가족의 항쟁
마리아나군도(群島)는 적군 점령이 되려는 날만 가까워
육군 조사대 아라마간섬 상륙
시라미 함대(艦隊) 유인(誘引)으로 대환영하는 밤
드디어 예상했던 징용령이 내렸다
파간 섬에서 14개월 동안 생애 처음의 전쟁 경험
파간섬 미 기동대(機動隊)의 공습 하에서 생사의 투쟁(斗爭)으로
매일(每日)이 비행장 폭탄 맞아 뚫린 구멍 메우기 작전
야간작업(夜間作業)
돼지 잡이 일대 사건
비행장 수리작업을 포기하고 해군 진지 구축으로
1944년 9월이 아닌가. 설부대 소량배급도 종말(終末)
파간섬 남단(南端)으로 이동작전
만사는 오케이. 야마다와 나, 카누 선장 오하라, 일체감
바리야르 격절지(隔絶地)에서의 희비극
육군 내부의 갈등과 카누 1대 변상의 말다툼
현재의 처와의 애정, 드디어 결혼
아라마간섬 인부들을 위해 운명을 같이 해
만사(萬事)는 실패로 나는 송송으로 출두, 군법 재판을
일개인으로 전락(轉落) 생활에서 가지가지
일본 육군과 해군의 차이점과 기질
해방(解放)이 온다, 복잡했던 심경
파간 일본군 백기 게양(揭揚), 선상에서 항복서명
LST 미선(米船)으로 도민(島民)들 사이판으로 인양(引場)
사이판섬 상륙의 초보(初步)까지
백여 일 동안 민간 포로(捕虜)로서 사이판 한인캠프(Saipan Korean Camp)에서 지내던 기억.
캠프 자치 행정 조직
사법주임(司法主任)이란 감투를 쓰고
사법주임 행세(行勢) 중 기억이 나는 몇 가지
Camp 속의 인물들
우리 한민족은 해외에 살아도 단합(團合)이 힘들어
우리 캠프에서 보고 들은 소감(所感) 몇 가지
본국으로 인양(引揚)하는 교포들과 작별 후 이도(移島)
마쓰모토가된 삽화
일제시대하 보고 들은 소견
회고록을 마치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