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서를 통해 조선시대를 살펴본 책이다. 군대와 군사에 관한 책인 병서는 전쟁과 반란 등 굵직한 사회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주요 병서들을 소개하며, 병서에 반영된 조선의 모습을 생생하게 읽어낸다.
목차
머리말
1장 새로운 나라를 위한 새로운 병서 조선의 '설계자'가 만든 병서 『진법』 병서로 왕권 강화의 기틀을 마련하다 『진도지법』 전쟁의 역사를 엮다 『역대병요』 조선군의 표준 전술이 완성되다 『오위진법』 조선의 군사 법전 『병정』 군사를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병장설』 호쾌한 조선의 정벌기 『국조정토록』
2장 임진왜란 이후 잿더미에서 일어서다 임진왜란으로 깨달은 전략 『무예제보』 화약 무기, 전장을 바꾸다 『신기비결』 진짜 적은 누구인가? 『무예제보번역속집』 전투마를 위한 병서 『마경초집언해』 옛 전법과 새 전법을 잇다 『연기신편』 정조, 새로운 구낻를 꿈꾸다 『병학지남』 우리글로 완성된 병서 『진법언해』
3장 조선의 부활을 꿈꾸다 백성과 함께 한양을 지키다 『수성책자』 뒤주에 갇힌 병서 『무예신보』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통합 전술 『병학통』 동양 삼국 무예의 집대성 『무예도보통지』 역사 속 무인을 기억하라 『해동명장전』 국가가 백성을 지키지 못한다면 『민보의』 전쟁의 선봉에 선 화약 무기 『융원필비』
4장 몰락하는 조선을 지키다 중국 병서의 핵심을 모으다 『무비요람』 조선을 지킬 마지막 무기 『훈국신조기계도설』 서양의 이양선에 대응하다 『융서촬요』 훈련도감의 모든 것 『훈국총요』 근대식 군대의 탄생 『보병조전』 활쏘기로 조선의 명맥을 잇다 『조선의 궁술』 검도와 총검술을 담다 『무예도보신지』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산전수전 고려사2000 / 박선식 지음 / 푸른나무
포은 정몽주의 외교활동2015 / 포은학회 편 / 한국문화사
다시는 신을 부르지 마옵소서 : 사직상소2017 / 지음: 김준태 / 눌민
조선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2016 / 지음: 이근호 / 민속원
조선 왕실의 상장례 : 국왕 국장과 세자·세손 예장2017 / 지음: 이현진 / 신구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