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전문학의 주요 장르와 텍스트를 여성적 시각에서 살펴본 책. 고전문학 각 장르에 나타나는 타자적 존재로서의 여성현실, 100년 전 제기된 평등의 페미니즘과 차이의 페미니즘의 상호연대, 시대별 성별 정체성의 문제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책머리에
제1부 | 고전문학 장르와 여성 서사한시敍事漢詩의 여성담론-남성의 시각과 여성의 현실 1. 머리말 2. 평민여성의 죽음을 보는 두 시각 3. 기생의 절개를 보는 두 시각 4. 여성억압의 현실에 대한 인식 5. 맺음말 고려속요의 여성화자 1. 여성화자와 여성성女性性의 시학 2. 여성으로서 말하기 3. 여성에 빗대어 말하기 4. 여성인 체 말하기 5. 마무리 여성영웅소설과 평등ㆍ차이ㆍ정체성의 문제 1. 여성영웅소설이 제기한 문제 2. 여성영웅소설과 '평등' 3. 여성영웅소설과 '차이' 4. 여성영웅소설과 성별정체성 5. 맺음말
제2부 | 여성의 자기서사 여성의 자기서사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들 1. 여성 자기서사 연구의 의의 2. 자기서사의 개념 3. 자기서사에 있어서 사실과 허구 4. 남성의 자기서사와 여성의 자기서사 5. 여성적 정체성의 유형 6. 구술 여성자기서사의 의의 7. 노동여성의 자기서사 8. 그 외의 문제들 여성적 정체성과 자기서사-『자긔록』과 「규한록」의 경우 1. 머리말 2. 『자긔록』의 여성적 정체성과 자기서사 3. 「규한록」의 여성적 정체성과 자기서사 4. 조선 후기 양반여성의 정체성과 자기서사 기생의 자기서사-「기생명선자술가」와 『내 사랑 백석』 1. 기생과 자기서사 2. 「기생명선자술가」 3. 『내 사랑 백석』 4. 절개, 낭만적 사랑, 그리고 여성 전통시대 한국여성의 자기서사 1. 자기서사의 개념 2. 전통시대 남성의 자기서사 3. 여성의 자기서사적 글쓰기의 상황 4. 자기서사의 동기 5. 자기서사의 주요작품에 나타난 여성적 자아 6. 자기서사와 지배가치의 관련양상 7. 자기서사에 나타난 여성의 경험들
제3부 | 「덴동어미화전가」의 세계 여성문학의 시각에서 본 「덴동어미화전가」 1. 고전문학연구에서 여성문학적 시각의 필요성 2. 개가改嫁의 양상과 의미 3. 귀향과 달관 4. 하층체험의 수용과 부녀가사의 변모 5. 맺음말 주해註解 덴동어미화전가 원문 현대어 표기 및 주해
원 게재처 일람
춤추는 소매 바람을 따라 휘날리니2012 / 류수열 풀어씀 ; 이승민 그림 / 나라말
춤추는 소매 바람을 따라 휘날리니2012 / 류수열 풀어씀 ; 이승민 그림 / 나라말
바람에 실려 온 사랑, 가을날 노래가 되어2012 / 조윤형 글 ; 김은정 그림 / 나라말
어지러운 세상 인연의 배를 띄워2012 / 황혜진 글 ; 박명숙 그림 / 나라말
달도 없는 빈 하늘 기이한 이야기만 흐르네2016 / 주진택 글 ; 한수임 그림 / 나라말
달도 없는 빈 하늘 기이한 이야기만 흐르네2012 / 주진택 풀어씀 ; 한수임 그림 / 나라말
헌 집 줄게, 새 집 다오 : 고전소설의 근대적 변개와 콘텐츠 = Give you an old house, Give me a new house : the modern modifications and contents of the classical novels2019 / 지음: 권순긍 / 소명출판
한국 고전문학의 여성적 시각2017 / 지음: 박혜숙 / 소명
조선후기 역사소설과 민족정체성의 재구성2015 / 저자: 송하준 / 학자원
쾌족, 뒷담화의 탄생 : 살아있는 고소설2014 / 이민희 지음 / 푸른지식
쾌족, 뒷담화의 탄생 : 살아있는 고소설2014 / 이민희 지음 / 푸른지식
파격의 고전 : 심청은 보았으나 길동은 끝내 보지 못한 것2016 / 이진경 지음 / 글항아리
우리들의 행복한시간2010 / 공지영 / 푸른숲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 공지영 장편소설2005 / 공지영 지음 / 푸른숲
엄마 없다 : 김민아 소설2011 / 지음: 김민아 / 끌레마
서사문학의 시대와 그 여정 : 17세기 소설사 : a study about history of Korean fiction on 17th century2013 / 지은이: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 / 소명출판
이조한문단편집. 22018 / 편역: 이우성 ; 임형택 / 창비
꿈을 찍는 사진관2011 / 강소천 지음 ; 소천아동문학상 운영위원회 엮음 ; 이은천 그림 / 교학사
'중심'의 회복을 위하여 = On the way to the axis mundi, the sacred center of the world reading comtemporary novels through myth and symbol : 신화와 상징으로 현대소설 읽기2014 / 민혜숙 [지음] / 소명
쾌족, 뒷담화의 탄생 : 살아있는 고소설2014 / 지음: 이민희 / 푸른지식
우리가 참 아끼던 사람 : 소설가 박완서 대담집2016 / 엮은이: 호원숙 / 달
갈라파고스 수용소 : 사이비 종교의 범죄 행각과 그를 비호하는 자들의 실체2014 / 허병주 지음 / 비봉
텍스트와 콘텍스트, 혹은 한국 소설의 현상과 맥락 : 손정수 평론집2016 / 지은이: 손정수 / 자음과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