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말
머리말
불로장생은 정말 가능한가
정좌의 방법
정좌 시 몸과 마음의 상태
이 책은 정좌 입문서로 가장 적합하다
인시자정좌법의 장단점
인체 내의 기기란 어떤 것인가
단전, 맥, 륜이란 어떤 것인가
정좌와 기맥
유불도 삼가의 정좌 자세
칠지좌법의 자세
칠지좌법에 관한 전설
손을 포개고 다리를 트는 자세의 건강 효과
두뇌의 건강 효과
다리를 틀고 앉는 자세와 건강
정좌 시 마음의 처리
정신을 집중하고 사유를 운용하는 존상과 정사
마음을 편안히 하여 규를 지키는 방법
규를 지키는 효과
수규와 존상의 원리
수규와 연기
무엇이 기인가
정좌와 기의 존상
인체 내부의 기기와 공기의 관계
휴식으로서의 정좌와 기의 움직임
정좌를 시작할 때 나타나는 기기의 반응
등 뒤의 반응
정좌와 후뇌의 반응
전뇌의 반응
간뇌의 반응
임맥은 어떻게 통하는가
음식을 조절하는 것과 중궁 위기의 작용
배가 나오면 도가 부족하다
사람 몸에서 양다리와 발의 중요성
기맥의 차이에 대한 논쟁
도가와 밀종의 기맥에 관한 그림
중맥에 관한 주요 논쟁
왜 기맥이 진동하는가
왜 기맥을 통하는가
정좌와 정신의 단련
정, 기, 신 삼련설
정, 기, 신 삼련설과 수련 기간에 관한 설
정을 기르는 데 대한 현대 의학과 전통 의학의 이견
진정한 의미의 정은 어떤 것인가
정좌와 연정화기의 분석
진정한 의미를 기란 어떤 것인가
호흡의 정지와 연정화기의 초보적 경지
기질의 변화와 기의 주기
마음을 편안히 하는 것이 최고의 연기 방법이다
삼화취정과 오기조원
연기와 화신
신이란 어떤 것인가
기화신의 경지
연기화신에 대한 세 가지 물음
부록 1 정의 수련과 참선의 요점
수행의 기초, ‘정’ 공부
비로자나불 칠지좌법
정좌 시 주의사항
선정의 입문법
어떻게 육근을 도구로 하는가
안색 법문
이성 법문
비식 법문
신촉 법문
의식 법문
정과 혜의 모습
무엇이 ‘정’인가
참선지월
깨달음을 얻은 사람도 계속 정을 닦아야 할까
부록 2 인시자정좌법
머리말
정좌의 원리
정(靜)의 뜻 심신의 모순
정좌와 생리의 관계
신경 혈액 호흡 신진대사
정좌의 방법
정좌 전후의 조화 공부 음식의 조정 수면의 조정 몸의 조정 호흡의 조정 마음의 조정
지관 법문
육묘 법문
나의 경험
소년 시대 중년 시대 동밀의 수련 생리상의 대변화
만년의 시기
밀교 개정법의 수련 밀교 대수인의 수련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