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노화란 무엇인가?
1.1 노화개념의 정의
1.2 노화에 따른 신체의 변화
1.3 노화를 촉진하는 원인
1.4 노화의 이론
1.5 세포노화와 개체의 최대 수명
참고문헌
Chapter 2 활성산소종(ROS)과 노화
2.1 활성산소종이란 무엇인가?
2.2 활성산소종의 생성기전
2.3 활성산소종과 세포손상
2.4 활성산소종과 세포신호전달
2.5 활성산소종과 항산화제
참고문헌
Chapter 3 세포주기 조절과 노화
3.1 세포주기
3.2 세포주기의 조절
3.3 제한지점(Restriction point)과 pRb 단백질
3.4 유사분열
3.5 CDK 저해인자(inhibitor)와 노화
3.6 p53과 노화
참고문헌
Chapter 4 텔로미어와 노화
4.1 텔로미어는 무엇인가?
4.2 텔로미어의 구조
4.3 텔로미어-연합단백질(telomere-associated proteins)
4.4 텔로미어와 텔로머라제
4.5 텔로미어 단축과 복제노화
4.6 텔로미어 연관 질병
참고문헌
Chapter 5 세포노화와 노화
5.1 세포노화란 무엇인가?
5.2 세포노화를 일으키는 원인들
5.3 종양억제유전자와 세포노화
5.4 노화세포의 분비활성(SASP)
5.5 세포노화와 개체노화
참고문헌
Chapter 6 아폽토시스와 노화
6.1 아폽토시스와 괴사
6.2 아폽토시스 깆가
6.3 아폽토시스와 노화
참고문헌
Chapter 7 DNA 손상과 노화
7.1 DNA의 손상
7.2 DNA 수선(repair) 기작
7.3 DNA 손상 반응(damage response)
7.4 노화와 DNA 손상
참고문헌
Chapter 8 유전체 불안정성과 노화
8.1 조로증
8.2 DNA 복제기작에서 WRN 단백질의 역할
8.3 DNA 수선기작에서 WRN 단백질의 역할
8.4 텔로미어에서 WRN 단백질의 역할
참고문헌
Chapter 9 면역계 퇴행과 노화
9.1 우리 몸의 면역체계
9.2 노화에 따른 면역기능의 변화
9.3 염증반응
9.4 염증반응과 NF-kB 전사인자
9.5 NF-kB와 노화
9.6 NF-kB와 죽상동맥경화증
참고문헌
Chapter 10 열량제한과 노화
10.1 식이제한의 효과
10.2 식이제한의 매개자: 시르투인
10.3 시르투인1과 대사
10.4 시르투인1과 콜레스테롤 이화작용
10.5 시르투인1과 스트레스 저항성
10.6 시르투인1과 DNA 수선
10.7 시르투인1과 암
참고문헌
Chapter 11 호르몬과 노화
11.1 호르몬과 노화
11.2 인슐린과 포도당 대사
12.3 노화의 동물모델
참고문헌
Chapter 12 최종당화산물과 노화
12.1 당화반응(glycation)이란 무엇인가?
12.2 교차결합설
12.3 최종당화산물과 당뇨병
12.4 최종당화산물과 혈관노화
참고문헌
Chapter 13 신경계 퇴행과 노화
13.1 인간 뇌의 구조
13.2 파킨슨병
13.3 알츠하이머병
13.4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참고문헌
Chapter 14 스트레스와 노화
14.1 스트레스의 의미 및 원인
14.2 스트레스의 신경생리학적 기전
14.3 신경가소성과 스트레스의 작용기전
14.4 산화 스트레스와 뇌질환
14.5 스트레스와 노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