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도깨비', '사임당', '역적', '관상' 등 사극을 배경 소재로 한 우리 콘텐츠의 원형인 고전 속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묶어낸 것이다. 우리 문화 콘텐츠의 밑천이자 상상력의 원천인 고전 속에서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탐색한다.
목차
서문을 대신하여
제1장 퇴마사 황철 - 귀신에 씐 이야기
길흉을 점치는 귀신
아랑 전설
귀신을 쫓아낸 밀본
퇴마사 황철
귀신과의 동침
신장이 궁녀를 희롱하다
귀신의 겁간과 두 개의 구슬
죽어서 뱀이 된 비구니
이항복을 찾아온 복성군
귀신의 복수를 막은 이항복
산신의 배필이 된 호경
도깨비가 쌓은 제방
귀신을 쫓고 아내를 얻다
제2장 도승과 말세우물 - 사찰 연기설화
도승과 말세우물
관세음보살, 두 친구를 시험하다
황소로 둔갑한 도승과 오백나한
구룡사 전설
화랑으로 현신한 미륵불
현덕왕후, 그리고 세조와 상원사 이야기
태무덤을 옮기고 살아남다
백련선사와 가야산 호랑이
낙산사의 관음보살과 정취보살
일곱 산적이 머리를 깎고 득도하다
무심천에 나타난 일곱 부처님
조신 이야기
제3장 목베기 미륵과 창촌리 수호불 - 지명에 얽힌 전설
무학대사와 간월도
숯쟁이 노인과 아기장수
경양방죽과 흰쌀을 물고 온 개미떼
목베기 미륵과 창촌리 수호불
뗏목다리에 얽힌 쉰둥이 이야기
배다리 처녀 총각의 이루지 못한 사랑
이원조와 까치내의 전설
최장사와 호랑이바위 전설
검단산 전설
여우의 구슬을 빼앗아 삼키다
금샘과 고당할미 전설
장미산성과 보련산성
천안삼거리와 능수버들
백제왕과 위례산 전설
보령 칠성바위와 칠형제의 죽음
아들을 점지해주는 노적바위
문바위 전설
제4장 죽을 시기를 예언하다 - 신이담, 기인담
야광주와 불운한 사내
풍운의 홍도전
새끼 밴 쥐와 용한 점쟁이
소년장사, 맨손으로 호랑이를 때려잡다
전우치, 여우에게서 비법을 빼앗다
전우치, 그림 속 당나귀를 타고 달아나다
설씨녀와 가실
김현과 호랑이의 사랑
죽은 아들이 남기고 간 손자
천년두골 삼인수
유이태의 낙반비벽토
갓쉰동전
설문대할망 이야기
제주 어부들의 수호신 영등할망
선비, 신선계를 방문하다
개와 대들보 위의 지네
「백이전」을 1억 1만 3,000번 읽은 김득신
죽을 시기를 예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