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시각 3권. 필자는 인간 본연의 도덕감정을 토대로 사회질서가 달성될 때 최선의 국가가 이룩될 수 있다는 스미스의 논지를 빌려, 정신적 공황에 빠져버린 한국사회를 향해 이의를 제기하고자 이 책을 구상했다.
일러두기 들어가며 서설_애덤 스미스는 누구인가 서설_『도덕감정론』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열쇳말들
제1부 『도덕감정론』과 그 세계 |1장| 『도덕감정론』의 탄생 이 책은 어떻게 쓰였나 |2장| 자연적인 것과 도덕적인 것 자연과 도덕은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 |3장| 보상감정과 정의 정의는 보상감정에서 유래한다 |4장| 보이지 않는 손과 정의 도덕적 적정성을 내포한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지 않을 때, 사회정의는 사라진다 |5장| 자연적 자유체계와 국가 국가는 자연적 자유체계의 최종적 수호자이다 -하이에크의 ‘위대한 사회’에 보내는 스미스의 반박문을 대신하여
제2부 『도덕감정론』 깊이 읽기 |6장| 인간행위의 적정성 문제 왜 어떤 행위는 적정한 반면, 다른 어떤 행위는 부적정한가 |7장| 육체적 열정과 그 적정성 열정들이 어느 정도로 표출될 때 그 적정성을 얻는가 |8장| 야심과 경쟁 그리고 부와 권력 행복은 부와 권력에 비례하지 않는다 |9장| 신중한 사람과 행복 신중한 사람은 무엇보다도 마음의 평정을 바란다 |10장| 보상과 처벌 적정한 보상과 처벌이 사회를 존속시킨다 |11장| 자혜와 정의 그리고 행복한 사회 자혜와 정의는 행복한 사회의 토대이다 |12장| 마음의 평온과 행복 행복은 마음의 평온을 유지하고 향유함에 있다 |13장| 지혜로운 사람과 나약한 사람 양심에 따른 실천과 세간의 평가에만 따른 실천 |14장| 관습과 도덕감정 관습은 인간의 도덕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5장| 도덕철학의 체계들 덕성은 어디에 있는가 |16장| 인정의 원리 자신과 타인의 행위를 인정하거나 부인하는 것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마치며 참고문헌 주
옳고 그름 : 분열과 갈등의 시대, 왜 다시 도덕인가2017 / 조슈아 그린 지음 ; 최호영 옮김 / 시공사
(기타노 다케시의) 위험한 도덕주의자 : 우리는 왜 도덕적으로 살기를 강요받는가2016 / 지음: 기타노 다케시 ; 옮김: 오경순 / MBC C&I
꿀벌의 우화 : 개인의 악덕, 사회의 이익2010 / 버나드 맨더빌 지음 ; 최윤재 옮김 / 문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