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빨래판도 잘 보면 팔만대장경이다 : 아는 것 같은데 잘 모르고 있는 역사 용어 상식 톺아보기
발행연도 - 2012 / 지음: 전병철 / 살림터
-
도서관
청라국제도서관
-
자료실
[청라국제]보존서고(일반)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I0000034346
-
ISBN
9788994445274
-
형태
360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아시아
>
한국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책소개
'대한민국 역사상식' 시리즈 두 번째 저서. 학교 수업시간이나 문화유산 답사를 갔을 때, 역사 이야기를 주고받을 때, 역사적 사건을 두고 갑론을박할 때 알고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되는 역사 용어와 역사 상식이 총망라되어 있는 책이다.
목차
제1부
우리가 보는 대부분의 탑은 다 가짜(?) ┃탑과 부도에 대하여┃
나 같은 사람을 화장해도 사리가 나올까
일반인들에게도 사리는 나온다
탑과 부도는 사리에 따라 구별된다
부도에는 인간적인 냄새가 배어 있어 정겹다
사리와 전혀 관계없는 탑도 있다
탑을 보면 그 시대 정치가 보인다 ┃시대별 탑의 특징┃
순수예술이 오히려 더 정치적이다
전해지는 삼국시대 탑은 다섯 손가락 안에 있다(?)
3층탑을 보면 먼저 통일신라를 생각하라
개성이 수도인 고려, 개성이 강한 고려 탑
많지만 상대적으로 가치가 줄어든 조선시대 탑
탑을 쉽게 구분하는 법
탑 이름을 보면 그 됨됨이를 알 수 있다
알고 보면 외울 것도 없는 불상 이름 ┃불상 이름 짓는 법┃
역사는 외우는 게 아니다
불상 이름에도 본관이 있다
불상 이름에는 재료가 표시되어 있다
불상 이름에는 자신의 신분이 나타나 있다
불상 이름에는 친절하게 자세까지 표시되어 있다
불상 이름은 부르기 쉽고 간단할수록 좋다
스스로 지어보는 불상 이름
불상만 봐도 그 시대 정치가 보인다 ┃ 시대별 불상의 특징┃
불상을 보면 그 시대 사람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 불상은 웃으랴 고민하랴 고생 많았다
멋있고 야한 불상을 보면
일단 통일신라를 생각하라
고려시대 불상은 불쌍할 정도로 못생겼다
조선시대 불상은 너무 많아 대책이 없다(?)
제2부
국보 같은데 보물이라니 ┃문화재에 대하여┃
누구는 국보 1호, 누구는 보물 1호
각종 문화재는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관리된다
국보와 보물의 차이는 상대적인 것이다
문화재 지정 번호는 없어도 상관없는 번호다
사적과 명승, 천연기념물은 모두 기념물이다
천연기념물은 천연기념물이 아니라 국가 지정 기념물이다
문화재가 아니라 문화유산이다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데 어디 있으랴
건물에도 신분이 있었다 ┃건물 이름에 대하여┃
건물 이름만 해도 가지가지다
집이라고 해서 다 같은 집이 아니다
사람 따라 건물에도 서열이 있다
건물에 딸린 건물 이름도 가지가지다
기왕이면 다홍치마! 집도 화장을 한다
절 건물도 주인 따라 정해졌다 ┃사찰 건물에 대하여┃
사찰 건물도 이름이 가지가지다
절은 들어가는 길부터 심상치 않다
법당 이름은 불상 따라 정해진다
부처님이 사는 절도 사람이 사는 곳이다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