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 다문화 시대의 통일교육
  • 대출인기

    다문화 시대의 통일교육

    발행연도 - 2016 / 지음: 박성춘 ; 이슬기 / 집문당
    • 도서관 청라호수도서관
    • 자료실 [청라호수]보존서고1 (일반도서)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L0000044871
    • ISBN 9788930317528
    • 형태 189p. 23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414집으로, 세계시민을 위한 통일교육, 사회정의를 위한 통일교육, 역량중심 통일교육을 제안한다. 또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목표로 민족공동체적 북한관, 평화유지적 안보관, 지속가능발전 통일관, 자유민주주의적 통일국가관, 공존공영을 위한 세계관을 제시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I. 통일교육, 이대로 좋은가?

II. 통일교육, 어디로 가고 있는가?
1. 통일교육의 특징
1) 통일교육의 변화
2) 통일교육 내용 비교
3) 북한 관련 내용의 변화
2. 통일교육 연구의 특징
1) 관점의 다양성과 복잡성
2) 통일교육 연구 분석
3. 새로운 통일교육 모색을 위하여
1) 통일교육의 재해석
2) 새로운 통일교육을 위한 방법

III. 통일교육, 누구를 위한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대상
1) 장기화된 분단, 새로운 세대
2) 다문화 사회, 다양한 구성원들
2. 세계시민을 위한 통일교육
1) 민족 개념의 재구성
2)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IV. 통일교육,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내용
1) 이중적 북한이해
2) 통일 당위성과 필요성의 근거
2. 사회정의를 위한 통일교육
1) 통일 합의 대상으로 북한 인식
2) 사회정의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V. 통일교육,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방법
1) 정치적 민감성
2) 지식 위주의 주입
2. 역량개발을 위한 통일교육
1) 사회 통합을 위한 감수성 개발
2) 역량중심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VI. 통일교육, 다문화 시대의 사회 통합을 위하여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세계 최고의 학교는 왜 인성에 집중할까 세계 최고의 학교는 왜 인성에 집중할까 2014 / 최유진, 장재혁 [공]지음 / 다산에듀
세계 최고의 학교는 왜 인성에 집중할까 세계 최고의 학교는 왜 인성에 집중할까 2014 / 최유진, 장재혁 [공]지음 / 다산에듀
한반도 평화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한반도 평화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2018 / 외 지음: 이기범 / 살림터
공자혁명  : 2000년 전의 유교, 현대 교육에 메스를 대다 공자혁명 : 2000년 전의 유교, 현대 교육에 메스를 대다 2015 / 지음: 정재걸, 홍승표, 이승연, 이현지, 백진호, 황병기 / 글항아리
인성교육의 담론  = Discourses on character education  : 미래세대를 위한 지혜교육 탐색 인성교육의 담론 = Discourses on character education : 미래세대를 위한 지혜교육 탐색 2019 / 지음: 김영래 / 학지사
(인권·환경·평화를 위한) 도덕교육 = Moral education (인권·환경·평화를 위한) 도덕교육 = Moral education 2013 / 노희정 지음 / 서광사
(인권·환경·평화를 위한) 도덕교육 = Moral education (인권·환경·평화를 위한) 도덕교육 = Moral education 2013 / 노희정 지음 / 서광사
다문화 시대의 통일교육 다문화 시대의 통일교육 2016 / 지음: 박성춘 ; 이슬기 / 집문당
퇴계의 인성교육 퇴계의 인성교육 2015 / 이동기 지음 / 영남대학교출판부
인성이 실력이다 인성이 실력이다 2016 / 조벽 저 / 해냄
인성이 실력이다 : 성공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조벽 교수의 제안 인성이 실력이다 : 성공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조벽 교수의 제안 2016 / 지음: 조벽 / 해냄
세계 문화와 학교교육의 미래 : 교육의 유사성과 차이에 대한 제도주의 관점과 해석 세계 문화와 학교교육의 미래 : 교육의 유사성과 차이에 대한 제도주의 관점과 해석 2016 / David P. Baker, Gerald K. LeTendre [공] 지음 ; 김안나 옮김 / 교육과학사
서당공부, 오래된 인문학의 길 서당공부, 오래된 인문학의 길 2014 / 한재훈 지음 / 갈라파고스
서당공부, 오래된 인문학의 길 서당공부, 오래된 인문학의 길 2014 / 한재훈 지음 / 갈라파고스
왜 그는 한국으로 돌아왔는가? : 비판적 사고 교육과 평등 사회 왜 그는 한국으로 돌아왔는가? : 비판적 사고 교육과 평등 사회 2019 / 지음: 황선준 / 살림터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다문화 사회와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다문화 사회와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2015 / 지음: 김태환 / 집사재
세계사의 중심축이 이동한다 : 세상을 움직이는 힘, 부와 권력의 역사 세계사의 중심축이 이동한다 : 세상을 움직이는 힘, 부와 권력의 역사 2020 / 지음: 다마키 도시아키 ; 옮김: 서수지 / 사람과나무사이
한국의 다문화 상황과 사회통합 한국의 다문화 상황과 사회통합 2011 / 김병조 ; 김복수 ; 서호철 ; 오만석 ; 은기수 ; 정미량 ; 정재기 ; 조동기 지음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영문법 다시 읽기  : 동사 영문법 다시 읽기 : 동사 2017 / 박영재 지음 / Whynut(와이넛)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인성이 실력이다 : 성공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조벽 교수의 제안 인성이 실력이다 : 성공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조벽 교수의 제안 2016 / 지음: 조벽 / 해냄
인간성 수업 : 새로운 전인교육을 위한 고전의 변론 인간성 수업 : 새로운 전인교육을 위한 고전의 변론 2018 / 지음: 마사 C. 누스바움 ; 옮김: 정영목 / 문학동네
삐딱할 용기 :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3 삐딱할 용기 :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3 2018 / 지음: 하승수 [외] / 교육공동체 벗
시민교육이 희망이다 :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 시민교육이 희망이다 :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 2017 / 지음: 장은주 / 피어나
논쟁 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 : 비판적 사고와 시민성 교육을 위한 안내서 논쟁 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 : 비판적 사고와 시민성 교육을 위한 안내서 2018 / 지음: 넬 나딩스,, 로리 브룩스 ;, 옮김: 정창우,, 김윤경 / 풀빛,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인재를 만드는)미래의 교육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인재를 만드는)미래의 교육 2019 / 지음: 김경희, 옮김: 손성화 / 예문아카이브
공부를 공부하다 : 사교육 이기는 공교육 효과 공부를 공부하다 : 사교육 이기는 공교육 효과 2020 / 지은이: 박재원, 정유진 / 에듀니티
4차 산업 혁명 시대, 우리 아이의 미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 우리 아이의 미래는? 2018 / 지음: 전진한 / 다림
독일 교육, 왜 강한가?  : 더불어 사는 삶을 가르치는 현장 독일 교육, 왜 강한가? : 더불어 사는 삶을 가르치는 현장 2015 / 박성희 지음 / 살림터
대학의 배신 : 인문학은 N포 세대를 구원할 수 있는가? 대학의 배신 : 인문학은 N포 세대를 구원할 수 있는가? 2016 / 지음: 마이클 S. 로스, 옮김: 최다인 / 지식프레임
(교사와 부모를 위한)발달교육이란 무엇인가? (교사와 부모를 위한)발달교육이란 무엇인가? 2017 / 지음: 현광일 / 살림터
앞서가는 아이들은 어떻게 배우는가 앞서가는 아이들은 어떻게 배우는가 2020 / 지음: 알렉스 비어드; 옮김: 신동숙 / 아날로그:
(하버드 시대의 종말과)학습 혁명 (하버드 시대의 종말과)학습 혁명 2020 / 지음: 오강선 / 클라우드나인
입시 가족  : 중산층 가족의 입시 사용법 입시 가족 : 중산층 가족의 입시 사용법 2013 / 김현주 지음 / 새물결
무엇이 이 나라 학생들을 똑똑하게 만드는가 : 미국을 뒤흔든 세계 교육 강국 탐사 프로젝트 무엇이 이 나라 학생들을 똑똑하게 만드는가 : 미국을 뒤흔든 세계 교육 강국 탐사 프로젝트 2014 / 아만다 리플리 지음 ; 김희정 옮김 / 부키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1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1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