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414집으로, 세계시민을 위한 통일교육, 사회정의를 위한 통일교육, 역량중심 통일교육을 제안한다. 또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목표로 민족공동체적 북한관, 평화유지적 안보관, 지속가능발전 통일관, 자유민주주의적 통일국가관, 공존공영을 위한 세계관을 제시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I. 통일교육, 이대로 좋은가?
II. 통일교육, 어디로 가고 있는가?
1. 통일교육의 특징
1) 통일교육의 변화
2) 통일교육 내용 비교
3) 북한 관련 내용의 변화
2. 통일교육 연구의 특징
1) 관점의 다양성과 복잡성
2) 통일교육 연구 분석
3. 새로운 통일교육 모색을 위하여
1) 통일교육의 재해석
2) 새로운 통일교육을 위한 방법
III. 통일교육, 누구를 위한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대상
1) 장기화된 분단, 새로운 세대
2) 다문화 사회, 다양한 구성원들
2. 세계시민을 위한 통일교육
1) 민족 개념의 재구성
2)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IV. 통일교육,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내용
1) 이중적 북한이해
2) 통일 당위성과 필요성의 근거
2. 사회정의를 위한 통일교육
1) 통일 합의 대상으로 북한 인식
2) 사회정의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V. 통일교육,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방법
1) 정치적 민감성
2) 지식 위주의 주입
2. 역량개발을 위한 통일교육
1) 사회 통합을 위한 감수성 개발
2) 역량중심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VI. 통일교육, 다문화 시대의 사회 통합을 위하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