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서론
제1장 과학으로서의 거시경제학
1-1 거시경제학자는 무엇을 연구하는가
1-2 경제학자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1-3 이 책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제2장 거시경제학의 자료
2-1 경제활동가치의 측정 : 국내총생산
2-2 생활비의 측정 : 소비자물가지수
2-3 실직상태의 측정 : 실업률
2-4 결론 : 경제 통계에서 경제 모형으로
제2부 고전파이론 : 장기적으로 본 경제
제3장 국민소득 : 생산과 분배
3-1 재화 및 용역 생산
3-2 생산요소에 대한 국민소득의 분배
3-3 재화 및 용역에 대한 수요
3-4 재화 및 용역에 대한 공급과 수요의 균형
3-5 결론
제4장 화폐제도 : 정의 및 역할
4-1 화폐란 무엇인가
4-2 화폐제도에서 은행의 역할
4-3 중앙은행은 통화공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4-4 결론
제5장 인플레이션 : 원인, 결과, 사회적 비용
5-1 화폐수량이론
5-2 화폐주조세 : 화폐발행에 따른 수입
5-3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5-4 명목이자율과 통화수요
5-5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5-6 초인플레이션
5-7 결론 : 고전파의 이분법
부록 케이건 모형 : 현재 및 장래 통화가 물가수준에 미치는 영향
제6장 개방경제
6-1 자본 및 재화의 국제적 이동
6-2 소국개방경제하에서의 저축과 투자
6-3 환율
6-4 결론 : 대국개방경제인 미국
부록 대국개방경제
제7장 실업 및 노동시장
7-1 실직, 구직, 자연실업률
7-2 구직과 마찰적 실업
7-3 실질임금 경직성과 구조적 실업
7-4 노동시장 사례 : 미국의 경우
7-5 노동시장 사례 : 유럽의 경우
7-6 결론
제3부 성장이론 : 최장기적으로 본 경제
제8장 경제성장Ⅰ : 자본축적과 인구증가
8-1 자본축적
8-2 자본의 황금률수준
8-3 인구증가
8-4 결론
제9장 경제성장Ⅱ : 기술, 경험 그리고 정책
9-1 솔로우 모형에서의 기술진보
9-2 성장이론에서 성장경험으로 전환
9-3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
9-4 솔로우 모형 이후의 성장이론 : 내생적 성장이론
9-5 결론
부록 경제성장의 근원에 대한 설명
제4부 경기순환이론 : 단기적으로 본 경제
제10장 경제변동 입문
10-1 경기순환의 진상
10-2 거시경제학의 단기 및 장기
10-3 총수요
10-4 총공급
10-5 안정화정책
10-6 결론
제11장 총수요Ⅰ : IS-LM 모형의 도출
11-1 재화시장과 IS곡선
11-2 화폐시장가 LM곡선
11-3 결론 : 단기균형
제12장 총수요Ⅱ : IS-LM 모형의 응용
12-1 IS-LM 모형을 이용한 경제 변동 설명
12-2 총수요이론으로서의 IS-LM 모형
12-3 대공황
12-4 결론
제13장 개방경제에 관한 재논의 : 먼델-플레밍 모형과 환율제도
13-1 먼델-플레밍 모형
13-2 변동환율제하에서의 소국개방경제
13-3 고정환율제하에서의 소국개방경제
13-4 이자율 차이
13-5 변동환율제여야 하는가 또는 고정환율제여야 하는가
13-6 단기에서 장기로의 이전 : 가격이 변화하는 경우의 먼델-플레밍 모형
13-7 결론
부록 대국개방경제의 단기 모형
제14장 총공급과 인플레이션 및 실업의 단기적 상충관계
14-1 총공급곡선에 관한 기본 이론
14-2 인플레이션, 실업, 필립스 곡선
14-3 결론
부록 근본 모형
제5부 거시경제정책 논제
제15장 총수요 및 총공급의 동태 모형
15-1 모형의 구성요소
15-2 모형의 해법
15-3 모형의 이용
15-4 두 가지 적용 사례 : 금융정책에 대한 교훈
15-5 결론 : 동태적인 확률 일반균형(DSGE) 모형의 탐색
제16장 소비자 행태의 이해
16-1 존 메이너드 케인즈와 소비함수
16-2 어빙 피셔와 기간 간 선택
16-3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생애소득 가설
16-4 밀턴 프리드먼과 항상소득 가설
16-5 로버트 홀과 확률보행 가설
16-6 데이비드 레입슨과 즉각적인 만족의 표출
16-7 결론
제17장 투자이론
17-1 기업 고정투자
17-2 주택투자
17-3 재고투자
17-4 결론
제6부 거시경제정책의 논제
제18장 안정화정책에 관한 대안적 관점
18-1 정책은 적극적이어야 하는가 또는 수동적이어야 하는가
18-2 경제정책은 규칙을 따라야 하는가 또는 자유재량에 맡겨야 하는가
18-3 결론 : 불확실한 세계에서의 정책수립
부록 : 시간 불일치성와 인플레이션 및 실업 사이의 상충 관계
제19장 정부부채 및 재정적자
19-1 정부부채의 규모
19-2 측정상의 문제
19-3 정부부채에 관한 전통적인 견해
19-4 정부부채에 관한 리카디언 견해
19-5 정부부채에 관한 기타 견해
19-6 결론
제20장 금융제도 : 기회 및 위험
20-1 금융제도의 역할
20-2 금융위기
20-3 결론
제21장 경기변동이론의 발전
21-1 실물경기 변동이론
21-2 신케인지언 경제학
21-3 결론
후기 우리가 알고 있는 것,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
거시경제학의 네 가지 중요한 교훈
거시경제학의 해결하지 못한 중요한 네 가지 의문점
결론
도표로 본 한국경제
용어해설
주제 찾아보기
영문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인명 영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