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 54권. K-pop에 드러나는 한국 노래의 지속과 변이의 양상, 미의식 등에 대한 연구서이다. 아울러, 음악 산업의 현장에서 저자가 직접 경험한 것들을 종합한 실무 보고서이기도 하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사 검토와 문제의 제기
3. 이론적 배경
3.1 놀이 문맥과 문화접견
3.2 해체 미학
4. 연구의 방법과 연구의 대상
2장 K-pop의 출현과 개념
1. K-pop의 정의
2. K-pop의 형성 배경
3. K-pop 관련 용어와 특징
3.1 아이돌: 소비되는 청소년, 소비하는 청소년
3.2 매니지먼트사: 이윤 창출을 위한 전략적 생산 주체
3장 종합문화적 산물로서의 K-pop, 그 존재와 당위
1. 노랫말 성향의 지속과 변이
1.1 내용적 측면의 관습성과 시대적 변주
1.1.1 사랑과 이별 주제의 지속성
1.1.2 저항과 비판의식의 가변성
1.1.3 향락과 자기과시 욕구의 새로운 조류
1.2 표현적 측면의 관습성과 시대적 변주
1.2.1 라임과 언어유희, 비유의 지속성
1.2.2 한국어와 외국어의 혼용을 통한 노랫말의 새로운 조류
2.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2.1 전통음악의 지속적 성향
2.2. 외국 댄스음악의 도입과 새로운 조류
2.2.1 외국 댄스음악의 특징
2.2.2 외국 댄스음악이 K-pop에 미친 영향
2.3 이종 매체 및 타 장르의 간섭에 의한 변이
2.3.1 뮤직비디오의 출현과 발달
2.3.2 트로트·발라드·록 장르의 간섭
4장 K-pop 미학의 본질과 지속의 가능성
1. K-pop에 나타나는 미의식과 미적 범주
1.1 정치적·사회적 억압에 대한 비판 미학으로서의 풍자
1.2 공동체 구성원들에 대한 애정과 공감 미학으로서의 해학
1.3 기존 질서에 대한 무조건적 거부와 해체 미학
2.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소통의 원활화와 예술적 다양성
5장 K-pop의 예술사적 의미
1. 통합예술로서의 노래와 K-pop의 본질
2. 한국 대중음악사의 전환점과 K-pop의 위치
6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