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 역사와 세계적 명작을 넘나드는 통섭의 인문학. 명작이라 불릴 만한 인류의 문화유산과도 같은 그림,문학,음악 등의 예술작품을 빌려 우리 역사를 살펴보는 교양 역사 서적이다. 익숙한 명작으로 역사적 사건이나 흐름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1장 역사의 새벽
01 별에서 온 어린 왕자, 별로 가려는 인간들
02 한반도의 이브, 역포인 -동이족의 원시사회는 유토피아인가?
03 치우의 한족(韓族), 황제의 한족(漢族)과 싸워 120전 전승하다-아테네와 아레스의 싸움
04 산신령 단군왕검, 그 신화를 닮은 일본 신화
05 고조선은 동방의 천자국이다
06 삼한의 오리 사랑- 구스타프 클림트의 [생명의 나무] 그리고 프로메테우스
2장 삼국시대
01 님프의 아들 주몽, 소서노와 결혼하여 기반을 닦다
02 소서노, 장미에 찔린 릴케처럼
03 아프로디테와 부여 공주 파소-혼전 임신으로 가출해 신라를 만들다
04 유리왕, 외로운 로빈슨 크루소
05 고구려인들은 결혼식 때 수의를 준비한다-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
06 낙랑공주와 줄리엣, 사랑이냐 충효냐
07 사람 깔고 앉는 모본왕, 백성 울린 을파소- 톨스토이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08 산상왕, 형수와 결탁해 왕이 된 고구려의 햄릿
09 멧돼지를 잡고 왕비가 된 처녀-달의 신 아르테미스의 멧돼지
10 ‘루(婁)’자 시대를 끝낸 백제 초고왕, 마한을 누르고 대륙에 진출한 고이왕
11 근초고왕, 백제의 황색 깃발로 고구려의 적색 깃발을 덮다
12 광개토대왕은 왕관 대신 투구를 쓰고, 훈족 아틸라는 베르디의 오페라가 되다
13 형제국 고구려와 백제는 왜 그토록 싸웠을까?- 펄 벅의 《대지》
14 신라 진흥왕, “음악이 무슨 죄가 있겠느냐”-전장에 울려퍼진 쇼팽의 야상곡
15 스파이들이 난무한 삼국 -《007》 시리즈
16 을지문덕에게 진 수양제는 동양의 돈키호테였나?
17 신라 진평왕에게 백제 사위 서동은 브루투스였다
18 고구려와 백제 vs 신라와 당나라 -삼한중국판 오월동주
19 《모비 딕》과 당태종의 유언, “다시는 고구려를 치지 마라”
20 신라와 손을 잡은 당나라, 자만에 빠진 의자왕 -이들을 통해 본 《인간의 조건》
21 신라의 마타하리, 금화
22 보물섬 고구려가 무너지니 신라와 당나라가 다투다
23 통일신라시대냐 남북국시대냐, 고도를 기다리며
24 왕건에게 밀린 궁예는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였다
25 왕건과 견훤의 마지막 승부처, 대구와 안동 -삼한인의 《백년의 고독》
3장 고려 시대
01 태조는 거란의 낙타를 거부하고, 서희는 세 치 혀로 거란을 물리치다
02 파혼 후 씨받이가 된 공예태후 임씨 -지리산 피아골 종녀촌과 아마조네스
03 요정 클리티에의 변신으로 비춰본 묘청과 김부식
04 무신의 난은 ‘중용’의 상실이다
05 민란 시대, 분노의 포도주잔을 던지다
06 안마당에서 일어난 프랑켄슈타인의 괴물 최충헌의 반란
07 비만증으로 막을 내린 최씨 무신 정권 - 이규보와 궁정화가 벨라스케스
08 삼별초의 숭엄한 최후 - 찰스 디킨스의 《위대한 유산》
09 원나라의 신데렐라 기황후와 [제위보가]
4장 조선 시대
01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자, 킹스맨 허조
02 동방의 카르멘, 황진이
03 조선의 로빈 후드 임꺽정, 정쟁을 중지시키다
04 이황과 조식, ‘주홍 글씨’에 얽혀 영남을 분열시키다
05 조선의 당쟁은 《오만과 편견》인가?
06 주막과 인조반정 -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사천의 선인》
07 장희빈과 퐁파두르 후작 부인
08 홍경래의 분노, “여기가 동물농장이냐? 평안도 놈들이라고 부르게?”
09 《조선책략》과 클로드 모네의 [해돋이]
10 근대의 서막, 우정국에 비친 불기둥-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
11 김홍집 그리고 이육사의 [초인]
12 아하 무사히 건넛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