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재단 연구총서 제414집으로, 세계시민을 위한 통일교육, 사회정의를 위한 통일교육, 역량중심 통일교육을 제안한다. 또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목표로 민족공동체적 북한관, 평화유지적 안보관, 지속가능발전 통일관, 자유민주주의적 통일국가관, 공존공영을 위한 세계관을 제시한다.
목차
I. 통일교육, 이대로 좋은가?
II. 통일교육, 어디로 가고 있는가? 1. 통일교육의 특징 1) 통일교육의 변화 2) 통일교육 내용 비교 3) 북한 관련 내용의 변화 2. 통일교육 연구의 특징 1) 관점의 다양성과 복잡성 2) 통일교육 연구 분석 3. 새로운 통일교육 모색을 위하여 1) 통일교육의 재해석 2) 새로운 통일교육을 위한 방법
III. 통일교육, 누구를 위한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대상 1) 장기화된 분단, 새로운 세대 2) 다문화 사회, 다양한 구성원들 2. 세계시민을 위한 통일교육 1) 민족 개념의 재구성 2)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IV. 통일교육,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내용 1) 이중적 북한이해 2) 통일 당위성과 필요성의 근거 2. 사회정의를 위한 통일교육 1) 통일 합의 대상으로 북한 인식 2) 사회정의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V. 통일교육,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방법 1) 정치적 민감성 2) 지식 위주의 주입 2. 역량개발을 위한 통일교육 1) 사회 통합을 위한 감수성 개발 2) 역량중심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VI. 통일교육, 다문화 시대의 사회 통합을 위하여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행복한 나라의 조건 : OECD 선정 '가장 행복한 13개국'에게 배운다2017 / 마이케 반 덴 붐 지음 ; 장혜경 옮김 / 푸른숲
틈새시간 2022 / 지음: 사라 샤르마 ; 옮김: 최영석 / 앨피
동해물과 백두산이 늘 푸르고 높게 : 세대를 넘어 함께 부르는 희망노래2016 / 서승일 지음 / 영림카디널
컨텍스트의 시대2014 / 로버트 스코블, 셸 이스라엘 [공]지음 ; 박지훈, 류희원 [공]옮김 / 지앤선
대중문화와 문화이론 2017 / 저: 존 스토리 ; 역: 박만준 / 經文社
글로벌 다문화 이해 = Global multicultural understanding2016 / 신군재 저 / 무역경영사
다문화 시대의 문화교육 커리큘럼 : 다문화 시대와 한국의 사회통합2017 / 윤여탁 [외] 지음 / 집문당
다문화 시대의 통일교육 : 다문화 시대와 한국의 사회통합2016 / 박성춘 ; 이슬기 [공]저 / 집문당
대한민국 행복지도2016 / 망고 제인 안기르 [외] 지음 / 아시아
SF, 포스트휴먼, 오토피아 : 한일 SF 애니메이션으로 살펴보는 '우리 안에 온 미래'2018 / 안숭범 지음 / 문학수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