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술과 문학의 파타피지컬리즘 : 욕망하는 미술, 유혹하는 문학
발행연도 - 2017 / 지은이: 이광래 / 미메시스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95726
-
ISBN
9791155351048
-
형태
619 p. 22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이론/비평/실기
책소개
예술 역사 속 파타피지컬리스트를 찾아가는 상호 통섭주의 실험서이다. 이 책은 미술과 문학사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작가들의 통섭적 능력에 주목한다. 그들의 영향력이 현시대에까지 이어지고 회자되는 이유는 바로 그들의 통섭력에 있다는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 욕망하는 미술
1. 욕망의 횡단성(가로지르기)과 조형 욕망
1) 가로지르기 욕망과 조형의 시원성
① 가로지르기 욕망
② 예술의 시원성과 상상력의 원천
2) 가로지르기 욕망과 미술에서의 미메시스
3) 가로지르기 욕망과 존재의 근원에 대한 사유
① 헤시오도스의 시원에의 욕망
② 오비디우스의 재현 욕망
2. 상상하는 미술과 문학에의 욕망
1) 그리스 신화의 추체험: 「라오콘 군상」
① 「라오콘 군상」: 추체험의 욕망과 고전미의 모범
② 「라오콘 군상」과 독일 고전주의
③ 《질풍노도》와 라오콘 증후군
2) 미술과 문학의 경계 긋기: 라오콘 전쟁
① 동일성에 대한 레싱의 비판
② 미술의 한계와 위계의 전도
③ 독일 계몽주의와 《미술을 위한 변명》
④ 격세 유전과 질풍노도
⑤ 비가시성과 미술의 한계
3) 선이해로서 문학: 단테의 『신곡』
① 선이해로서 『신곡』과 상상하는 미술
② 『신곡』의 예술혼과 정신 병리적 징후
③ 중세 말의 광기와 코메디의 역설
㈀ 세기말의 광기
㈁ 코메디의 역설
④ 19세기의 낭만주의와 단테 르네상스
4) 워터하우스의 상상하는 미술과 신화 미학
① 신화를 가로지르려는 욕망
② 문학에로의 욕망
㈀ 라파엘 전파 형제회
㈁ 내재적 지향성: 문학과 미술의 공감 예술
③ 삼투된 철학으로 미술하기
㈀ 영국은 왜 경험론의 나라였을까?
㈁ 낭만은 경험과 환상을 공유한다
3. 근원에 대한 조형 욕망: 철학의 둥지 속으로
1) 존재의 기원: 대타자주의(성상주의)와 원시주의
① 대타자주의
② 원시주의
㈀ 고갱의 신원시주의
㈁ 마티스의 야만적 원시주의
㈂ 피카소의 원시주의 증후군
㈃ 독일의 원시주의 증후군: 드레스덴 다리파와 철학의 둥지
2) 존재와 무: 실존과 죽음
① 피안에 대한 호기심
② 실존의 기호체로서 죽음의 미학
③ 전쟁과 실존: 참을 수 없는 욕망과 무거움
3) 존재의 근원으로서 절대 권력과 철학적 이념들
① 절대자(신)에서 절대 권력(왕)으로
② 존재의 근원에 대한 철학적 이념들
4) 존재의 근원으로서 성과 사드주의
① 근원으로서의 성과 성애
② 불평등한 성 의식과 페미니즘
③ 도착된 욕구로서의 성
제2장 / 유혹하는 문학
1. 문학의 유혹성
1) 데자뷰 효과: 시와 소설의 회화적 기시감
① 예술의 시비: 동일에서 차별로
② 허구의 진화와 다빈치의 역설
2) 픽션의 가시성: 재현 욕망과 유혹(읽기에서 보기로)
① 허구의 가시성
② 허구에의 유혹과 재현 욕망
③ 허구적 의미의 해체와 차연
2. 미술의 흔적 남기기
1) 소박 미학의 공간으로서 자연
2) 통섭 미학 공간으로서 허구
3. 미술의 둥지 찾기
1) 둥지의 유혹 Ⅰ: 성서 속으로
① 대타자 콤플렉스와 블레이크의 창세 미학
② 소박미의 둥지들: 창세와 콰트로첸토 증후군
③ 통섭미의 둥지들과 살로메 신드롬
㈀ 콰트로첸토의 살로메 신드롬
㈁ 오리엔탈리즘과 살로메 신드롬
㈂ 20세기의 살로메 신드롬
2) 둥지의 유혹 Ⅱ: 문학 속으로
① 유혹의 야누스: 유혹하는 것과 유혹당하는 것
② 고대 그리스의 3대 비극과 미술 작품들
㈀ 유혹 인자형의 둥지들: 아이스킬로스의 『아가멤논』 현상
㈁ 유혹 인자형의 둥지들: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과 『엘렉트라』 효과
㈂ 유혹 인자형의 둥지들: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 현상
③ 페트라르카의 시적 둥지: 유혹당하는 파타피지컬 현상들
㈀ 인문주의와 월계관
㈁ 계관 시인의 고전주의와 인문주의
㈂ 페트라르카 현상과 상호 텍스트성
④ 보카치오의 《휴머니즘은 실존주의다》
㈀ 『데카메론』과 상상하는 미술
㈁ 보카치오의 단테주의
⑤ 셰익스피어의 문학 철학: 욕망의 계보학과 파타피지컬리즘
㈀ 욕망의 계보학과 비극의 탄생
㈁ 권력 의지와 셰익스피어의 비극
㈂ 셰익스피어의 비극과 회화적 파타피지컬리즘
⑥ 피터르 브뤼헐의 유혹과 플로베르의 자화상
㈀ 플로베르는 사실주의자인가?
㈁ 성 안토니오 효과
㈂ 플로베르 증후군
㈃ 유혹하는 「성 앙투안느의 유혹」
⑦ 졸라와 세잔, 마네 그리고 르누아르
㈀ 결정론자 졸라
㈁ 졸라와 세잔: 감성적 공감과 이성적 반감
㈂ 졸라와 마네
㈃ 졸라와 르누아르
⑧ 통섭 인류 말라르메와 파타피지컬리즘:
드뷔시, 마네, 르동, 고갱, 마티스
㈀ 말라르메를 만나다
㈁ 「목신의 오후」: 교향악적 시와 드뷔시의 가곡
㈂ 말라르메와 마네의 상리 공생
㈃ 말라르메와 르동의 상호 주관성
㈄ 말라르메와 고갱: 같음과 다름
㈅ 마티스의 예술적 가로지르기와 말라르메의 『시선집』
⑨ 말라르메 증후군과 현대 철학
㈀ 말라르메의 글쓰기와 사르트르의 반감과 공감의 문학 비평
㈁ 말라르메와 바르트: 《저자의 죽음》
㈂ 말라르메의 텍스트와 크리스테바의 『시적 언어의 혁명』
㈃ 푸코의 《말라르메론》과 《저자란 무엇인가?》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2 |
40대 | 1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1 |
2018년 | 0 |
2019년 | 2 |
2020년 | 1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