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대 철학사 : 한족, 다시 중국 대륙의 주인이 되다
발행연도 - 2016 / 장쉬예즈 지음 ; 김승일 ; 김창희 옮김 / 경지출판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95335
-
ISBN
9791186819333
-
형태
951 p. 25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동양철학, 사상
>
중국철학, 사상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중국철학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철학자, 특히 중국의 철학자와 현실 정치는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중국의 사상가들은 관리와 학자의 신분을 다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자신의 정치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통로가 따로 있었다. 그 외에 명나라의 많은 사상가들은 계속 주해를 다는 방식으로 자신의 사상을 표명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장 조단과 명나라 이학의 흥기
제2장 설선의 하동지학과 명의 관중학자
제3장 오여필의 자치역행과 호거인의 주경
제4장 진헌장과 심학의 시작
제5장 담약수의 수처체인천리 및 그 학문의 전래
제6장 왕양명의 양지
제7장 왕용계의 선천정심과 전덕홍의 후천성의
제8장 황관의 "간지"와 계본의 "용척"
제9장 추수익의 계구의 종지 및 그 가학
제10장 구양덕의 동정과 체용합일설
제11장 섭표의 귀적지학
제12장 귀적주정설에 대한 나홍선의 전면적인 설명
제13장 왕시괴의 투성연기설
제14장 심학의 종지에 대한 호직의 발휘
제15장 이재의 지수지학
제16장 왕간 및 태주학의 창립
제17장 나여방의 "적자양심"
제18장 경정향의 "불용이"
제19장 초횡의 유, 불, 도 삼학
제20장 이지의 동심설
제21장 나흠순의 철학사상
제22장 왕정상의 기론 및 그 실증 경향
제23장 오정한의 철학사상
제24장 진건의 《학부통변》이 주자학에 대한 천양
제25장 고헌성에 의한 주자학과 양명학의 조화
제26장 고반룡의 격물지본
제27장 유종주의 성의와 신독
제28장 심학에 대한 황종희의 종합
제29장 진확의 철학사상
제30장 방이지의 철학사상
제31장 왕부지의 철학사상
제32장 사대 고승을 통해 알아본 명나라 불교의 추세
제33장 명의 도교철학
제34장 명말 중국에 전래된 천주교와 중국문화의 충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