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 연구총서 17권.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생태 문제와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의 인문학’ 연구에서 주목하는 로컬(리티)을 연결하여 물음을 던진다.
목차
책머리에
1부 생태 사유와 체계 자연에 대한 지배에서 자연과의 연합으로 - 셸링과 블로흐의 생태담론과 그 극복을 중심으로 / 조영준 1. 현대 문명의 위기와 생태학적 세계관 2. 생태위기의 정신적 근원으로서 기계론적 자연관 3.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서 유기체적-전체론적 자연관 4. 유기체 원리의 응용으로서 자연과의 공생 5. 제휴기술을 통한 자연과의 연합 6. 로컬리티에 근거한 생태 유토피아 로컬리티의 생태학과 생태적 로컬인 / 조명래 1. 지구와 몸의 환경문제 2. 사이공간interstitial space으로서 로컬리티 3. 생태체제로서 로컬리티 4. 로컬리티의 환경문제-도시적 로컬리티를 중심으로 5. 로컬리티의 생태적 복원 6. 생태적 로컬인, 생태적 재현공간 7. 로컬리티의 재자연화를 위하여 다중심적 사회 - 생태체계와 로컬리티 / 박규택 1.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 이해의 필요성 2. 공유재 문제와 공유자원의 개념 3. 다중심성, 제도분석 그리고 사회-생태체계 4. 사회-생태체계에 대한 고찰 5. 인간과 자연의 공존
2부 생태위기와 주체의 재구성 생명정치와 원폭2세 김형률의 재현 - 설치영상 <메아리-물>을 중심으로 / 박수경 1. 오바마, 히로시마 그리고 합천 2. 김형률의 생애와 인권운동 3. 설치영상 <메아리-물>(2015) 4. 7평 ‘형률의 방’의 의미 국제결혼여성의 사회생태적 실천과 연대 / 양흥숙 1. 생태와 사회 2. 사회생태주의와 국제결혼여성 3. 대도시 주변지역에서의 다문화 호명 4. 다문화 공간과 구성원의 복잡화 5. 관계 맺음과 연대의 실천 6. 생태적 삶을 향하여 리질리언스와 재로컬화를 통한 생태주의적 전환 - 영국 토트네스 전환마을운동을 사례로 / 공윤경 1. 생태위기와 로컬의 가능성 2. 생태적 재로컬화와 전환마을운동 3. 리질리언스와 사회생태시스템 4. 토트네스의 전환마을운동 5. 리질리언스와 지속성을 갖춘 로컬로의 전환 6. 생태공동체의 연대와 확산
3부 생태 담론과 대안적 상상력 탈식민주의와 생태학의 접점에서 - 이론적 검토와 킨케이드의 글들에 대한 생태 비평적 읽기 / 이유혁 1. 탈식민적 생태학에서 관계의 문제와 텍스트로서 로컬리티 2. 탈식민주의와 생태주의의 만남에 대해서 3. 공모와 재현의 필요성의 접점에서-킨케이드의 텍스트들에 대한 생태 비판적인 글 읽기 4. 탈식민적 생태학, 어려운 싸움의 딜레마적 공간으로 들어가기 재난과 생명, 그리고 신식민주의 - 3·11 이후의 후쿠시마 읽기 / 조정민 1. ‘재난’과 ‘재난 영화’ 2. 재난 부재의 후쿠시마, 재난으로 부활하는 ‘일본’ 3. 반복되는 ‘희생의 시스템’ 4. 선택 불가능한 삶-동물권에 대한 환기 5. 원전이라는 ‘식민지’ 6. 지역에서 지구를 바꾸는 방법 공유재로서의 젠더와 자연 - 그 상실과 회복을 위한 대안적 상상력 / 박혜영 1. 여성과 자연이 처한 공통 위기 2. 산업사회의 등장과 젠더의 상실 -가사노동과 출산노동을 중심으로 3. 섹시즘sexism의 등장-공유적 젠더에서 개별적 젠더로 4. 공유재로서의 젠더와 자연 5. 대안적 상상력을 찾아서
서가브라우징
이 나날의 돌림노래2018 / 지음: 사사키 아타루 ; 옮김: 김경원 / 여문책
지적인 어른을 위한 최소한의 교양수업 : 평생의 무기가 되는 5가지 불변의 지식 2024 / 지음: 사이토 다카시 ; 옮김: 신찬 / 더퀘스트 :
지적인 어른을 위한 최소한의 교양수업 : 평생의 무기가 되는 5가지 불변의 지식 2024 / 지음: 사이토 다카시 ; 옮김: 신찬 / 더퀘스트 :
사이언스이즈컬처 : 인문학과 과학의 새로운 르네상스 2012 / 노암 촘스키 외 지음 ; 이창희 옮김 / 동아시아
사이언스이즈컬처 : 인문학과 과학의 새로운 르네상스 2012 / 노암 촘스키 외 지음 ; 이창희 옮김 / 동아시아
이상한 논문 : 세상에서 가장 유쾌한 지적 수집품2016 / 지음: 산큐 다쓰오 ; 옮김: 김정환 / 꼼지락
생각해 봤어? : 우리가 잃어버린 삶2014 / 글쓴이: 이성희, 이문재, 이계삼, 엄기호, 성해영, 서정홍 / 교육공동체 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