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역사
제1장 | 군산 거주 일본인의 귀환 과정에 나타난 지역적 특성: 세화회의 조직과 활동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해방 직전 군산 지역의 일본인
Ⅲ. 해방 직후 군산세화회의 결성
Ⅳ. 미군 부대의 군산 지역 진주
Ⅴ. 군산세화회의 단체 활동
Ⅵ. 결론
제2장 | 미군정 정부수립 시기 군산 옥구 지역의 사회와 경제
Ⅰ. 문제의 소재
Ⅱ. 미군정 정부수립 시기 지역의 사회 상황
Ⅲ. 미군정 정부수립 시기 지역의 경제 상황
Ⅳ. 요약 및 결론
제3장 | 근대문화도시조성사업과 군산근대도시경관 변화의 기록
Ⅰ. 군산 근대도시경관의 형성
Ⅱ. 근대도시유산에 대한 인식의 전환
Ⅲ. 군산 내항 영역의 도시경관과 벨트화 사업
Ⅳ. 군산 원도심 영역의 도시경관과 역사경관 사업
Ⅴ. 원도심 외곽의 근대도시경관과 각종 정비 사업
Ⅵ. 군산 원도심의 도시재생
제4장 | 군산 지역 세거 가문 연구 현황과 과제: 가문 연구를 통해서 본 군산 지역의 사회적 위상
Ⅰ. 머리말
Ⅱ. 연구 현황
Ⅲ. 연구 과제
Ⅳ. 맺는말: 가문 연구를 통해서 본 군산 지역의 위상
제2부 문화
제5장 | 문학으로 본 군산
Ⅰ. 전북문학의 힘과 군산문학이라는 ‘나눌 수 없는 잔여’
Ⅱ. 교환의 정치경제학과 증여의 윤리학: 채만식의 『탁류』 읽기
Ⅲ. 전쟁의 트라우마와 대속의식: 고은의 『나, 고은』 읽기
Ⅳ. 군산이 낳은 두 작가와 군산의 힘
제6장 | 이근영의 삶과 문학
Ⅰ. 서론
Ⅱ. 이근영의 생애와 작품
Ⅲ. 이근영 연구의 방향과 과제
제7장 | 『만인보』에 나타난 군산: 고향과 근대도시의 풍경
Ⅰ. 고은과 『만인보』
Ⅱ. 삶의 경험과 문학 공간
Ⅲ. 전통적 고향과 근대성의 첫 경험 공간
Ⅳ. 익명의 도시 공간과 자본주의적 삶의 경험
Ⅴ. 맺음말
제8장 | 채만식의 『심봉사』 계열체 서사의 근대성
Ⅰ. 들어가는 글
Ⅱ. 반복강박으로서의 『심봉사』 계열체 서사
Ⅲ. 서사적 전유의 양상과 그 의미
Ⅳ. 나오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