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rologue│알고 보면 리더도 ‘未生’이다
│제1부│흔들리는 리더, ‘인문약’이 필요하다
리더가 되면 행복해질까?
리더를 불안하게 만드는 것들
환경 변화는 리더를 위험지대로 내몰았다
경쟁 방식이 달라졌다 : 격투기에서 이종격투기로
행복한 삶을 위해 생각해봐야 할 질문들
리더십 위기, 리더의 ‘말발’이 안 먹힌다
위기에 빠진 리더에겐 ‘인문약’이 필요하다
│제2부│인문의 눈으로 리더십을 읽는다
리더십? 많이 배웠다. 하지만 현실은…
딜레마 하나, 리더가 ‘카리스마’를 발휘하기 어려운 이유
존재 가능성을 닫아버린 리더는 부하의 가능성도 부정한다
스스로의 존재 가능성을 닫는 순간 리더는 늙는다
딜레마 둘, 리더가 ‘지적 자극’을 하기 힘든 이유
평소 인문고전을 탐독한 리더가 부하를 지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딜레마 셋, 리더가 ‘개별적 배려’를 하기 힘든 이유
자기를 먼저 배려해야 타인을 배려할 수 있다
│제3부│인문학, 리더를 똑바로 세우다
직장인으로 성공하기 위한 세 가지 방법
조직에서 성공하기 위한 두 가지 길 : 노자 vs 장자
훌륭한 리더가 되려면 먼저 자신을 '리드'해야 한다
차별적 경쟁력을 기르기 위한 다윈과 베르그송의 조언
군자불기, 리더는 그럿이 되어서는 안 된다
│제4부│인문학으로 리더십에 날개를 달다
돈으로는 진정으로 부하를 리드할 수 없다
부하를 동기부여 하는 두 개의 손잡이(二柄)
인간은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에게 끌린다
노동이 아닌 놀이를 즐길 때 행복해진다
인간적인 소통은 부하를 춤추게 만든다
먼저 이해하라, 그리고 소통하라
군자는 화이부동하고 소인은 동이불화한다
리더가 풍부해야 세상이 아름다워진다
│Epilogue│인문학적 소양이 없으면 당신도 ‘아이히만’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