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김일성 세력의 승리 선언 : 1960~1961년
농촌 관리의 혁신, ‘청산리방법’
모든 리에 진료소를 설치하다
연방제 통일 방안 제의
통일 정책의 변천
붉은기중대운동
제4차 당대회는 ‘승리자 대회’
유격대 국가로
중소 분쟁과 중국 지지
비날론 생산
‘자력갱생’의 등장
집단적 공장관리시스템, ‘대안의 사업 체계’
김정일 처형 성혜랑의 1960년
제2장 주체사상의 출현 : 1962~1963년
만주파가 내각을 장악하다
백두산 국경 획정
경제·국방 병진 정책
4대 군사노선 제시
항일빨치산 소설 인기
농지의 국유화 지향
주체사상의 등장
주체사상이란 무엇인가?
산골 농장원의 1962년
제3장 김정일의 등장 : 1964~1965년
3대 혁명역량 강화론
김정일의 당 사업 시작
김정일은 어디서 출생했는가?
사회단체 전면 정비
주체사상 정식화
협동농장 분조관리제 실패
김일성 유일체제에 대한 내부의 반발
민주선전실장의 1965년
제4장 유일사상 체계 확립 : 1966~1967년
농업현물세 폐지
문화대혁명과 북중 관계 악화
베트남전쟁 파병
일본에 한반도의 분국이 있었다
월드컵 축구 8강 신화
‘총비서-비서-비서국’ 체계
인민경제발전 7개년 계획 연기
갑산파 숙청과 김정일의 등장
유일사상 체계 확립
주체사상은 최고 지도지침
김신조가 겪은 1966~1967년
제5장 ‘친애하는 지도자 동지’ 김정일 : 1968~1969년
“박정희 모가지 따러 왔시요”
통일혁명당 건설 실패
미국의 항복을 받다
주체사상이 ‘김일성 혁명사상’으로
군 수뇌부 숙청
강선속도운동
북중 관계 회복
최고의 경의를 표하는 호칭
방직공장 근로자의 1969년
제6장 유일사상 체계 가속화 : 1970~1971년
김일성의 마지막 집단 숙청
전 사회의 유일사상화
사회주의 공업국가 실현
100일 전투
3대 기술혁명 추진
혁명가극 <피바다>와 김정일
8개항 통일 방안과 남북적십자회담
헨리 키신저의 다극안정론
남북적십자 예비회담 북측 단장의 1971년
제7장 수령제 완성 : 1972~1973년
7·4 남북공동성명과 고려연방제 통일 방안
11년 의무교육 시행
‘사회주의 헌법’ 마련
수령제의 법적·제도적 완성
‘수령의 유일적 영도 체계’와 북한식 사회주의
당증 교환 사업
3대 혁명소조운동
국가정치보위부 설치
김정일의 당 조직 장악
주체사상이 ‘김일성주의’로
유치원장의 1973년
제8장 후계체제 정비 : 1974~1975년
김정일 후계자 확정
항일빨치산 세력과 후계 결정
혁명전통계승론과 후계자론
김영주의 수난
군에 대한 통제력 확보
김일성주의화와 유일사상 체계 10대 원칙
세금 제도 전면 폐지
박정희 암살 시도
3대 혁명 붉은기쟁취운동
김일성종합대학 교직원 김덕홍이 본 1974년
제9장 김일성 군림, 김정일 통치 : 1976~1977년
김일성은 국가, 김정일은 당
김정일의 강력한 통치력 확보
김동규의 김정일 후계체제 비판
8·18 판문점 사건
1977년은 ‘완충의 해’
사회주의 교육헌장 공표
평안남도 강동군 협동농장경영위원장의 1977년
제10장 이중의 난관 : 1978~1979년
제2차 7개년 계획
최은희·신상옥 납북
창군기념일 변경
제3차 화폐개혁
‘숨은 영웅 따라 배우기’ 운동
식량 증산을 위한 고육책
대화 없는 남북 관계
최은희가 경험한 1978년
주
연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