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 머리에
제1부 연구 동향과 시각
조선후기 민중운동 연구의 몇 가지 문제
1. 머리말
2. 지주제와 민란
3. 향촌사회 지배질서와 민란
4. 민중의식과 민란
5. 맺음말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기반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1. 머리말
2. 동학사상=지도이념론
3. 종교적 외피론
4. 유기적 관련론
5. 단절론
6. 맺음말
1920~1930년대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형성
1. 머리말
2. 1920년 이전: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발아
1) 동학농민전쟁 당시-의거와 비적의 난
2) 애국계몽운동기-’혁명론’의 맹아
3) 박은식의 『한국통사』(1915)-미흡한 ‘혁명’으로서의 ‘평민혁명’
3. 1920~1930년대: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형성
1) 민족주의 계열
2) 사회주의 계열
4. 맺음말
한우근의 동학농민전쟁 연구-내용과 의의
1. 머리말
2. 동학농민전쟁 연구과정과 주요 논저
3.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4. 동학과 동학농민전쟁의 관계
5. 동학농민전쟁의 전개과정
6. 맺음말
‘등신대(等身大)’의 민중상으로 본 동학농민전쟁
1. 머리말
2. 문제의식
3. 동학사상과 농민전쟁의 관계
4. 도소체제(都所體制)와 ‘등신대’의 민중상
5. 민중의 지향과 내셔널리즘
6. 맺음말
1990년대 이후 북한 학계의 동학농민전쟁 연구동향과 특징
1. 머리말
2. 동학사상에 대한 상향평가
3. 동학농민전쟁에서 동학의 역할 강조
4. 동학과 농민전쟁의 애국애족적 성격 강조
5. 맺음말
제2부 새로운 방법의 모색
근대를 상대화하는 방법: 민중사에서 바라보는 근대
1. 들어가는 말
2. 민중운동의 자율성과 ‘반근대’ 지향성
1) 민중운동의 자율성
2) 민중운동의 ‘반근대’ 지향성
3. 근대의 상대화
1) 민중운동과 근대
2) 근대를 상대화하는 방법
4. 나오는 말
임술민란의 민중상에 대한 재검토
1.머리말
2. 근대지향이라는 시각
3. 토대반영론적 시각
4. 동아시아 비교사적 시각
5. 맺음말
동학농민군의 지향: 근대인가? 반근대인가?
1. 들어가는 말
2. 근대지향론
3. 반근대지향론
4. 민중운동의 지향: ‘근대’와 ‘반근대’의 너머
현행 고등학교 근현대사 교과서 서술에서 보이는 민중상
1. 머리말
2. 근현대사 교과서의 목차와 서술 내용
3. 근대화운동과 민중상
4. 민족운동과 민중상
5. 맺음말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의 새로운 모색
1. 머리말
2.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또 하나의 이해
3. 동학농민군이 체현한 ‘나눔과 배려’의 정신
1) 2009년 개정 교과과정의 변화: ‘나눔과 배려’의 강조
2) 동학농민전쟁에서 보이는 ‘나눔과 배려’의 정신
3) 농민군의 행동준칙에서 보이는 ‘나눔과 배려’ 정신
4. 동아시아 시각의 강조
5. 결론
동학농민전쟁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1. 서론
2. 연구사 검토
3. 동학농민전쟁과 향촌사회의 지배질서
4. 동학농민전쟁과 여성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