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서문
머리말
제1장. 정조의 문무겸전론과 병서 간행
1절. 정조에게 '무武'란 무엇인가?
2절. 정조의 문무겸전론 인식과 그 특징
1) 문무겸전론의 인식 배경
2) 문무겸전론의 실질적 특징
3절. 문무겸전론의 방안으로서 병서 간행
1) 병서 간행 추이와 『대전통편』
2) 병서 간행과 국정 운영의 관계
4절. 정조의 이루지 못한 꿈은 '무武'안에 숨어 있다
제2장. 정조대 화성 방어체제에 따른 장용영의 군사조련과 무예훈련
1절. 정조에게 화성과 장용영은 어떤 의미인가?
2절. 화성 방어체제의 성립과 장용영
1) 화성 방어체제 성립과 배경
2) 장용영 창설의 배경
3절. 장용영의 군사조련 형태와 무예훈련의 내용
1) 장용영의 군사 조련 형태
2) 장용영의 무예 훈련 형태
4절. 장용영을 통해 본 조선후기 군사무예사적 특성
5절. 정조에게 장용영은 마지막 자존심이었나?
제3장. 정조대 보병진법 원앙진의 군사무예 특성
1절. 진법이란 무엇인가?
2절. 원앙진 도입과 정착
1) 원앙진의 도입 배경
2) 원앙진의 정착에 따른 군사훈련의 변화
3절. 원앙진에 사용된 군사무예의 종류와 그 실제
1) 원앙진에 사용된 군사무예의 종류
2) 원앙진의 기본 움직임과 전술체제의 변화
4절. 원앙진을 통해 본 정조대 진법의 특성
5절. 원앙진은 보병을 위한 가장 안정적인 진법
제4장. 정조대 마상재의 군사무예 정착과 그 실제
1절. 마상재는 마상 서커스인가?
2절. 마상재의 도입배경과 마상무예의 안정
1) 마상재의 도입배경과 군사훈련 정착
2) 정조대 마상무예의 안정화
3절. 마상재의 실제와 무예사적 특성
1) 마상재의 실연과 말갖춤의 특성
2) 마상재의 무예사적 특성
4절. 마상재는 무예이자 연희의 꽃
참고문헌
<부록> 정조시대 관련 TV 역사 콘텐츠의 고증考證 한계와 그 대안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