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
1장 | 과학은 어떻게 제도화되는가?
1. 과학사회학의 태동
2. 과학의 규범구조
3. 과학제도와 과학 공동체의 구조
4. 제도주의 과학사회학의 성과와 한계
2장 | 과학 지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 과학지식사회학의 도전: 과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
2. ‘스트롱 프로그램’과 과학적 실천: 에든버러 학파와 바스 학파
3장 | 기술은 어떻게 현재의 모습이 되었을까?
1. 구성주의와 기술사회학의 등장
2. 기술사회학의 발전: 자전거의 사례
3. 사회구성주의의 성과와 한계
4. 기술결정론과 사회구성주의를 넘어서
제2부 | 과학기술과 여성, 젠더
4장 | 여성이 본 과학기술, 어떻게 다른가?
1. 과학 속의 여성과 젠더 문제
2. 페미니스트 기술 연구
3. 과학기술과 젠더 연구의 성과
4. 젠더 관점의 과학기술 혁신을 향하여
5장 | 과학기술, 여성에게 좁은 문인가?
1. 여성 과학자, 왜 관심을 갖는가?
2. 한국의 여성 과학자, 과거와 현재
3. 미래의 희망과 과제
6장 | 과학기술, 여성의 삶을 바꾸는가?
1. 가정 내의 산업혁명, 여성을 가사노동에서 해방시켰는가?
2. 디지털 혁명, 가정생활에 혁명을 일으키는가?
3. 정보화, 여성의 일자리와 권한을 증대시키는가?
제3부 | 현대 과학기술의 명암
7장 | 과학기술과 위험, 어떤 관점에서 보는가?
1. 현대 과학기술에 대한 경고
2. 과학기술과 위험
3. 위험사회론
8장 | 질주하는 과학기술,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1. 생명과학기술의 새로운 도전
2. 인간유전체 연구와 유전정보의 보호
3. ELSI 연구의 가능성과 한계
9장 | 과학기술에 우리의 미래를 맡기려면?
1. 과학기술에 대한 예측과 평가
2. 시민 참여와 과학기술 거버넌스
3. 한국의 과학기술 거버넌스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