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을 인간의 바르고 곧은 마음을 실천하는 것으로 바라본다. 이는 한 번의 실천으로 청렴이 실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청렴은 이러한 실천이 지속적으로 전개될 때 형성되는 하나의 덕이라고 할 수 있다. 청렴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과정에서는 다양한 덕목들이 함께 수반된다.
목차
제1부 청렴교육의 의미와 교재의 활용 1. 청렴의 의미와 교육의 목적 2. 교재의 활용
제2부 청렴교육의 내용 1차시 : 청렴의 의미와 본질 -나와 상대방의 바르고 곧은 마음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2차시 : 청렴의 실천원리 - 정의 -나와 상대방의 바르고 곧은 마음을 어떤 행동으로 나타낼 수 있을까? 3차시 : 공정과 정직 -친한 친구가 교표를 달지 않고 등교했는데, 선도부 활동을 하는 나는 벌점표를 발부하지 않고 모른 척 할까? 4차시 : 약속과 책임 -친구의 도와달라는 요청에 너무 바빠서 어떤 생각 없이 그냥 “알았어.”라고 대답했는데, 꼭 지켜야 할까? 5차시 : 절제와 배려 -오늘 청소 당번인 급우가 몸살로 힘들어하고 있는데, 남아서 도와 줄 수 있을까? 6차시 : 부정행위와 사회부패 -사소한 선물이라도 대가를 목적으로 한다면 나는 받아야 할까? 7차시 : 청렴한 사회와 문화 -나는 전 재산을 사회에 기부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이나 재산을 기부할 수 있을까?
제3부 부록 1. 차시별 주요 인물 사례 2. 동양 및 한국 고전 청렴관련 내용 정리 3. 서양 고전 청렴관련 내용 정리 4. 청렴 관련 법 규정 5. FGI 분석결과
서가브라우징
경쟁을 넘어 발달 교육으로 : 발달 교육 없이 학교 혁신이 가능할까?2015 / 현광일 지음 / 살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