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994년 첫 출간 이후 쇄를 거듭하며 꾸준히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글읽기의 정석, 최시한 교수의 <수필로 배우는 글읽기> 제3판이다. 저자는 모든 ‘공부’의 바탕이 ‘읽기’임을 역설하며, 체계적으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훈련법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제3판 서문
고치고 더한 판(제2판) 서문
제1판 서문
일러두기
제1장 글, 읽기, 읽는 힘
1. 글읽기의 중요성
2. 읽기의 단계와 연습
3. 글이란
4. 읽기란
5. 「설해목」 자세히 읽기
함께 읽기 1―「조숙」
함께 읽기 2―「어느 날 자전거가 내 삶 속으로 들어왔다」
제2장 글을 잘 읽으려면
1. 많이 읽어야 한다
2. 주체적으로 읽어야 한다
3. 글 자체에 충실하게 읽어야 한다
4. 새로운 사실과 가치를 찾으려는 비판적 태도로 읽어야 한다
5. 글의 형식과 매체를 고려하여 읽어야 한다
6. 선명한 이해에 도달할 때까지 거듭 읽어야 한다
함께 읽기 3/오류 분석―「병과 인내심」
함께 읽기 4―「학유에게 부치노라」
함께 읽기 5/오류 분석―「미운 간호부」
함께 읽기 6―「독서의 내공 없이는 인터넷도 헛것」
제3장 수필이라는 읽기 자료
1. 수필이란
2. 읽기 자료로서의 수필
함께 읽기 7―「까치」
함께 읽기 8/오류 분석―「인생의 으뜸 과제」
제4장 필자의 상황과 관점
1. 상황과 관점이란
2. 상황과 관점 읽기
3. 「시골 한약국」 자세히 읽기
▶ 함께 읽기 9―「‘파는’ 문화와 ‘읽고 쓰는’ 문화」
▶ 함께 읽기 10―「삼등석」
▶ 함께 읽기 11/오류 분석―「현이의 연극」
▶ 함께 읽기 12―「플루트 연주자」
▶ 함께 읽기 13―「호민론」
제5장 단락과 구성
1. 부분과 전체
2. 단락, 단락 읽기
함께 읽기 14―『월든』에서
함께 읽기 15―「상상력의 빈곤」
3. 구성, 구성 읽기
함께 읽기 16/오류 분석―「설야 산책」
함께 읽기 17―「문명 비판과 복고 취향」
함께 읽기 18―「별들을 잃어버린 사나이」
함께 읽기 19/오류 분석―「나무」
제6장 제재와 주제
1. 제재, 제재 읽기
함께 읽기 20―「?」
함께 읽기 21/오류 분석―「들국화」
2. 주제, 주제 읽기
함께 읽기 22―「품위」
함께 읽기 23―「딸깍발이」
함께 읽기 24/오류 분석―「슬견설」
함께 읽기 25―「보리」, 「권태」
제7장 종합 연습
함께 읽기 26―「언어의 경제학」
함께 읽기 27―「모자철학」
함께 읽기 28―「삶의 광택」
함께 읽기 29―「한국인―사고의 자립」
함께 읽기 30―「서문과 독자」
함께 읽기 31―「자유로운 책읽기에 대하여」
용어 찾아보기
답과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