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계의 언어와 시적 실험 : 어문표준화 정책에 따른 문인들의 언어의식과 창작태도의 변화
발행연도 - 2016 / 여태천 지음 / 소명출판
-
도서관
송도국제도서관
-
자료실
송도국제기구도서관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SL0000012006
-
ISBN
9791159050657
-
형태
338 p. 23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시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시론
책소개
1930년대 시인들의 언어에 대한 고민과 시적 실험을 담은 책. 1930년대 대부분의 시인들은 이중언어의 상황 속에서 진정한 의미의 조선어를 확립하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긴요하고도 중요한 문제에 대해 고민하였다. 이 책은 어문표준화 정책에 따라 달라진 그들의 언어의식과 창작 태도의 변화를 담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어문운동과 문학자의 고민
1장 한글맞춤법통일안과 어문표준화 정책
1. 조선어학회와 어문민족주의
2. 어문운동의 실상
3. 언문일치의 가능성과 표준어라는 환상
2장 어문표준화 정책과 문인들의 태도
1. 어문운동과 문인들의 반응
2. 표준어에 대한 엇갈린 욕망
3. 조선어라는 임계점
3장 조선어의 위상과 언어적 현실
1. 조선어의 현실
2. 모어에 대한 오해와 의문들
3. 조선어의 경계와 잉여들
4장 문인들의 언어의식과 창작태도
1. 조선어로 창작을 한다는 것
2. 조선어 실험과 그 가능성
3. 조선어의 미래와 조선 문학의 발견
5장 조선어 글쓰기와 문학적 현상
1. 글쓰기에 대한 자의식
2. 독서행위와 문화적 실천
3. 문학적 반응으로서의 글쓰기
제2부 조선어의 시적 가능성
1장 근대적 인식과 언어의 감각
1. 시어의 감각성과 체험의 진실성
2. 감각의 중첩과 감정의 제어
3. 다양한 신체 감각어와 시적 태도
4. 단절과 부정의 시어
2장 현실의 언어와 시의 현실성
1. 1930년대 조선시의 위상
2. 조선어의 현실과 시인의 태도
3. 문학어로서의 조선어와 그 의미
4. 시의 현실성과 그 한계
3장 문화적 체험과 언어적 정체성
1. 새로운 시와 “딩구는 언어”
2. 언어적 혼란-“국어의 전람회”
3. “과도기적 형태로서의 문어”에 대한 고민
4. “발견된 말의 가치”와 그 의미
4장 모국어의 궁핍함과 언어적 실험
1. 이상의 시 창작 시기와 그 의미
2. “동양에의 반역”과 “새길의 암시”
3. “한글문자 추구시험”-언어적 실험
4. 모국어의 궁핍함
5장 물질성의 세계와 언어의 고유성
1. 문제적인 시집 사슴의 이중성
2. ‘조선적인 것’과 또 다른 민족지
3. 지방성의 재발견-민속학, 박물학
4. 물질성의 언어-방언학(方言學, dialectology)
참고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