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머리말
1 [실존의 철학] 왜 인간인가?
신이 사라진 자리에는 인간만이 남는다 _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양심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라 _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인간 자신만이 인간을 구원한다 _사르트르,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진정한 사랑은 성장을 낳는다 _프롬, 《소유냐 존재냐》
2 [수신의 철학] 인간은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존재다
공부는 자기 충실을 위한 것이다 _공자, 《논어》
행복은 자기를 보전하는 일이다 _장자, 《장자》
자기 본성에서 부처를 구하라 _혜능, 《육조단경》
실천하지 않으면 참된 앎이 아니다 _왕수인, 《전습록》
3 [행복의 철학] 행복, 나와 당신이 누려야 할 권리
마음의 건강을 얻기 위해, 철학하라 _에피쿠로스, ‘쾌락’
현실에서 행복을 실현할 수 있다는 희망의 노래 _단테, 《신곡》
삶이 고통스러울수록 철학을 하라 _스피노자, 《에티카》
인간이 삶을 누리려면 자유로워야 한다 _볼테르, 《캉디드》
4 [정의의 철학] 정의가 무너진 사회는 지옥과 같다
통치자가 되려는 자여, 먼저 철학자가 되라 _플라톤, 《국가》
도덕적으로 선한 것은 유익한 것이다 _키케로, 《의무론》
도용당한 ‘보이지 않는 손’ _애덤 스미스, 《국부론》
다수를 위한 경제, 사회, 정치를 갈망하다 _마르크스, 《자본론》
형벌권은 최소한도의 권한이어야 한다 _베카리아, 《범죄와 형벌》
정의는 사회제도의 으뜸 덕목이다 _롤스, 《정의론》
5 [시민의 철학] 시민의 힘으로 권력에 저항하라
시민사회의 힘으로 권력에 맞서라 _그람시, 《옥중수고》
토론이 이성의 진보를 촉진한다 _가다머, 《진리와 방법》
생활세계에서의 소통이 세상을 바꾼다 _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
유럽 중심적 사고는 잘못되었다 _레비스트로스, 《슬픈 열대》
우리를 억압하는 권력에 저항하라 _푸코, 《지식의 고고학》
6 [통치의 철학] 백성의 지지를 잃으면 나라가 위태롭다
먼저 백성을 부유하게 하라 _관중, 《관자》
통치자는 백성을 동등하게 사랑해야 한다 _묵자, 《묵자》
이익이 아니라 인의만을 추구하라 _맹자, 《맹자》
시대와 상황에 맞게 나라를 개혁하자 _이이, 《율곡집》
당장 바로잡지 않으면 나라가 망할 것이다 _정약용, 《목민심서》
7 [아웃사이더의 철학] 시대의 이단아들, 철학의 구원자들
울타리 안에 매몰되지도 말고 벗어나지도 말라 _원효, 《금강삼매경론》
진짜로 중요한 일은 스스로 알아내는 것 _서경덕, 《화담집》
백성의 입장에서 유학자를 꾸짖다 _박지원, 《열하일기》
모든 사람들이 감동하는 철학을 하라 _최한기, 《기학》
8 [철학과 과학] 과학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었는가?
관찰과 고찰에서 참다운 지식을 얻을 수 있다 _베이컨, 《신기관》
사실을 바탕으로 만든 법칙으로 미래를 예견한다 _콩트, 《실증철학 강의》
정부의 사회 개입이 진화 과정을 왜곡한다 _스펜서, 《진보의 법칙과 원인》
과학의 진보에 압도당한 인간을 부활시키다 _베르그송, 《창조적 진화》
과학혁명이 패러다임을 바꾼다 _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9 [종교 철학] 종교에는 인간 존중의 철학이 담겨 있다
목수가 나무를 구부리듯 자기를 다스려라 _《법구경》
일상에서 깨달음에 이르는 길 _《바가바드기타》
천주와 상제는 모두 하느님의 이름 _마테오 리치, 《천주실의》
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