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겨레역사인물평전' 조선편.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빛낸 연금술사, 서정적 언어와 리듬으로 자연미를 표출한 시인, 고산 윤선도. 고산의 삶과 문학을 탐사하면서 서로 다른 면모가 포개져 생생하게 살아 숨 쉬는 '인간 고산'의 모습을 만나보자.
목차
발간의 글│‘한겨레역사인물평전’을 기획하며 / 정출헌
머리말│자연미의 시인이자 정치 논객, 극단적 대비로 가득한 윤선도의 삶 읽기
1장 고산의 진면목을 찾아서
남도 답사 일번지, 해남에서 보길도로
고산, 그 복합적 초상
2장 청년기의 삽화들
왜란이 발발, 그리고 작은아버지 댁으로의 입양
해남 윤씨 가문의 중흥자, 어초은 윤효정
호남 사림파의 거물, 귤정 윤구
생부와 양부, 두 아버지 슬하에서
‘고고한’ 청년기, 고산의 작품들
유학의 실천 지침, 『소학』에 심취하다
고산의 학문적 개성, 박람강기
해남 땅과의 조우, 「남귀기행」
3장 정치적 노정, 그 상승과 하강의 파노라마
광해군 시대, 붕당의 소용돌이가 시작되다
「병진소」가 초래한 파란
유배지에서 시작된 시조와의 만남
해배의 권유를 물리치다
인조반정, 정계의 대반전
해배 이후의 방황
득의의 시절, 중앙 정계에 나아가다
좌천, 그리고 자연으로의 은거
호란의 발발과 경과
병자호란을 계기로 부용동을 발견하다
전란 후유증으로 인한 두 가지 스캔들
해배 후에 다가온 또 다른 슬픔
4장 산수시의 새로운 경지, 「산중신곡」
세상만사 온통 시름뿐!
하늘이 선사한 비경, 금쇄동
산림과 현실 사이의 동요, 「만흥」 여섯 수
산수시의 다양한 파노라마
낮고 부드러운 목소리, 「오우가」의 세계
「산중속신곡」, 그리고 몇 편의 여음
5장 부용동에서 꽃핀 강호미학의 정점, 「어부사시사」
환갑을 넘어서서
봉림대군, 왕위에 등극하다
「어부사시사」의 산실, 부용동 원림
「어부가」, 동아시아의 전통으로 자리하다
조선에 뿌리내린 「어부가」의 계보
현실은 끊임없는 미련이어라
참을 수 없는 흥취의 미학
6장 노년의 불꽃, 예송논쟁
다시 정계의 소용돌이 속으로
‘정개청 복권’을 둘러싼 회오리바람
효종의 죽음, 그리고 산릉 논쟁
제1차 예송논쟁
패배, 그리고 삼수로의 유배
해배, 그리고 죽음
참고문헌
연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