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중반 이후 국내 대중음악계에서 가장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장르의 음악이자, 음악산업을 넘어 한국 문화산업 전반에서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문화 현상, ‘케이팝(K-Pop)’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케이팝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것
01 진짜 그렇게 인기가 많아? 1. 한류, 그리고 케이팝 2. 빌보드 키드와 한국 댄스음악 팬 사이에서 3. 무국적과 한국 국적 그 사이 어딘가 4. 획일화와 혼종화: 케이팝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5. 케이팝 브랜딩: ‘케이팝’이라는 브랜드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02 질풍노도의 시기: 1980년대 말의 한국 음악산업 1. 글로벌 저작권 체계로의 편입 2. 문화상품에 대한 수요 증대 3. 음악 제작의 디지털화와 한국 대중음악산업 4. 음악산업의 주요 수용자가 된 10대들
03 새로움에 대한 갈망: 신세대 댄스음악의 흥망성쇠와 그 유산 1. ‘신세대 댄스가요’의 등장 2. ‘금지된 음악’ 몰래 만나기 3. 독창성의 문제: 표절과 신세대 댄스가요 4. 신세대 댄스가요의 퇴조와 새로운 흐름의 시작
04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음악: 케이팝의 등장과 발전 1. ‘케이팝’이라는 용어의 유래 2. 케이팝: 무국적과 한국 국적 사이 3. 케이팝 시스템의 양대 축: 아이돌과 기획사 4. 케이팝의 수익 구조 5. 텔레비전 산업과 케이팝 산업의 상호의존적 관계 6. 성숙된 지역 음악으로서의 케이팝, 그리고 글로벌화
05 케이팝, 세계로 나아가다: 케이팝과 한류 1. 한류 형성의 배경 2. 케이팝 한류: 동아시아의 경우 3. 케이팝 한류: 동아시아 외 지역의 경우 4. 케이팝 세계화의 미래와 브랜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