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역자서문
서언
약어로 표시한 참고문헌
중국어 표기법
도량형
서술 체제에 대한 설명
귀주와 검중黔重의 지명地名에 대한 설명
서론
1 민족학자와 역사가들이 본 서남 중국
1. 19세기 : 중국학자, 선교사 그리고 유럽 상인들의 서남 지역 발견
중국학자
선교사
상업 사절단
2. 20세기 전반 : 원전原典과 현장 연구, 그리고 유럽인들 최초의 종합 연구
원전 분석
현장 연구
종합 연구
3. 중국인들의 서남 지역 <재발견>
유럽학파
중국에서의 서남 지역 연구 현황
2 사료
1. 귀주성 관련 명대 사료
명대 편집·출간된 자료
청대 편집된 자료
2. 귀주성 관련 청대 사료
지방지地方志
여행기
특정 연구
묘족 관련 수고본手稿本 자료
정전류政典類와 전집全集
3 17세기 말엽까지의 귀주 지역
1. 원대元代까지의 귀주 지역
2. 원元 왕조의 정책과 명초明初 성省의 설치
성省의 설치
토사제도土司制度
3. 2세기 동안의 우유부단한 정책
4. 만주족에 대한 저항
4 1650년 이전 지식인들의 서남 지역에 대한 관심
1. 양신(楊愼, 1488~1559), 유배지역에 지대한 관심을 가진 관료
2. 소수민족 지역의 개혁에 전념한 전여성(田汝成, 1503~1557)
3. 모험가이자 비범한 지리학자인 서하객(徐霞客, 1586~1641)
4. 광로(鄺露, 1604~1650), 괴상한 아마추어
제1장 귀주성의 자연 조건
1 산세山勢와 기후
진입하기 어려운 산악지역
독특한 산세
혹독한 기후
2 풍부한 천연 자원
숲
풍부한 지하자원
3 교통로
도로망에 대한 설명
도로 상황
도로 이용
수로水路
제2장 묘족苗族
모호한 단어인 ‘묘苗’
중국 소수 민족 관련 명칭의 또 다른 어려움
에버하르트(W. Eberhard)의 분석과 그 한계
새로운 시도
1 묘족苗族의 생활상
거주지
사회 조직
경제
개인과 사회
2 라라족玀玀族과 이족彛族
3 흘료족仡佬族
4 중가족仲家族과 포의족布依族
5 요족瑤族
6 동족垌族
제3장 한족의 경제적 정착
1 18세기 초엽의 중국 상황
2 인구 상황
3 한족 농법의 도입
묘족 토지의 몰수와 개간開墾
경작 기술의 진보와 새로운 작물의 도입
4 광산 개발
청대 광업 정책
광산 개발 관련 법률
광산 개발의 기술
광물의 생산
5 상업 활동
지역간 상업 활동
지역 시장과 객상客商
6 귀주성의 동전 주조 시작
제4장 한족 질서
1 새로운 행정 체제
직접 통치 옹호자들의 관점
개토귀류 정책의 시행 방식
2 정복 전쟁과 묘족의 대반란
옹정 초엽(1723~1733)의 정복 전쟁
개토귀류 시행 이후 발생한 묘족의 대반란(1734~1737)
건륭 60년~가경 11년(1795~1806)의 대규모 반란
군사 기술
제5장 식민지 경영자들의 마을
1 도시의 수효와 그 분포
2 성채城砦
장소의 선택
성채의 건설
3 한족의 촌락
사회적 시간
조직된 공간
생존을 위한 투쟁에서 안락한 삶으로의 전환
4 새로운 세계에 대한 인식
귀주성의 가혹한 자연환경
차이의 발견
5 묘족에 대한 인식
묘족은 어떻게 될 수 있을까?
실질적인 이해의 필요성
결론
부록
1 본문에 인용된 사료 번역
1. 원 왕조가 겪은 귀주성 진입의 어려움
2. 오랫동안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숲
3. 경작지로의 복귀를 위한 조치
4. 묘족들에 대한 교육
5. 乾隆 『貴州通志』에 등장하는 청대 귀주성 성급省級 관리 일람표
6. 귀주성의 이색 풍경을 읊은 시
7. 한족의 소수민족 언어에 대한 이해 : 엄여익嚴如熤, 『묘방비람 苗防備覽』에 등장하는 네 소수민족의 언어
2 본문에 인용된 사료 원문
참고문헌
색인
도판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