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서문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목적
제2절 기존연구에 대한 검토
제3절 연구방법
제2장 蘇東坡 詩文集의 고려, 조선으로의 유입 및 국내 판본의 간행
제1절 蘇東坡 文集의 고려, 조선으로의 유입 및 국내 판본의 간행
1. 소동파 문집의 고려로의 유입 및 고려 판본의 간행
2. 蘇東坡 文集의 조선으로의 유입 및 조선 판본의 간행
제2절 蘇東坡 文集의 조선으로의 유입 및 조선 판본의 간행
제3장 고려, 조선조 漢詩文의 思潮와 문인의 소동파 숭상의 원인
제1절 고려조 漢詩文의 思潮와 麗宋
제2절 조선조 漢詩文의 思潮와 문인의 소동파 수용
제3절 고려, 조선조 문인의 소동파 숭앙의 원인
1. 고려조 문인의 소동파 숭앙의 원인
2. 조선조 문인의 소동파 숭상의 원인-‘拜坡會’와 관련하여
제4장 고려, 조선조 문인의 소동파 인물평
제1절 연구배경으로서의 소동파의 高麗觀 및 洛蜀黨爭
1. 소동파의 高麗觀
2. 洛蜀黨爭
제2절 고려조 문인의 소동파 인물평
제3절 조선조 문인의 소동파 인물평
1. 긍정적 평가
2. 부정적 평가
3. 절충적 평가
제5장 고려조 문인의 소동파 詩文 수용 및 그 의의
제1절 소동파 수용과정
제2절 소동파 詩文評
제3절 소동파 詩文 수용 및 그 의의
1. 소동파 시문에의 심취와 동일화 양상
2. 소동파 시문의 창조적 수용
제6장 조선조 문인의 소동파 산문 수용과 평가
제1절 소동파 산문에의 심취와 동일화 양상
제2절 소동파 산문에 대한 긍정적 평가
제3절 소동파 산문에 대한 부정적 평가
제7장 조선조 문인의 소동파 시 수용과 평가
제1절 문인의 소동파 시에 대한 수용 양상
1. 소동파 시에의 심취와 동일화 양상
2. 소동파 시의 창조적 수용
제2절 소동파 시에 대한 긍정적 평가
제3절 소동파 시에 대한 부정적 평가
제4절 소동파 시에 대한 절충적 평가
제8장 조선조 한문학에 나타난 소동파 전후 「赤壁賦」의 수용과 ‘赤壁船遊’의 재연
제1절 소동파 전후 「赤壁賦」의 수용과 평가
제2절 소동파 ‘赤壁船遊’의 再演
1. 소동파의 後身 自處
2. ‘赤壁船遊’의 變容
제9장 申緯의 소동파 수용 및 그 의의
제1절 ‘소동파 배우기(學蘇)’ 과정 -翁方剛의 매개역할
제2절 소동파 시에의 심취와 동일화 양상
제3절 소동파 시의 창조적 수용
제10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소동파의 연보
2. 소동파의 관직 이동표
3. 『許筠』의 『閑情錄』에 수록된 소동파 관련 자료
색인
국문연구요약
英文提要(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