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경제학과 행복
1. 행복, 경제학에의 귀환
2. 행복 아니면 다른 무엇?
3. 개인적인 트레드밀: 적용과 기대
4. 사회적 트레드밀: 상대 소비와 지위 경쟁
5. 경제적 합리성에 대한 도전으로서의 행복의 역설
6. 행복과 기만
7. 그렇다면 어떠한 행복인가?
02 더 나은 웰빙이론 만들기
1. 서론
2. 행복에 세트포인트는 있는가?
3. 많을수록 좋은가?
4. 희망 수준과 적응
5. 더 나은 웰빙이론
6. 요약
부록 2.1
03 절대소득은 중요한가
1. 주관적 웰빙의 측정
2. 소득과 행복
3. 적응
4. 중요한 영역에 지출하기
5. 비과시적 소비
6. 그렇다면 왜 주관적 웰빙은 오르지 않는가?
04 교감: 사회적 상호작용의 즐거움
1. 약간의 증거
2. 경제학은 사회성을 어떻게 모형화하는가
3. 아담 스미스의 상호 공감론
4. 행복의 한 요소로서의 감정 일치
5. 사회적 상호작용의 당위성
05 행복 이론의 검정
1. 서론
2. 경제학의 행복 연구
3. 주관적 웰빙에 관한 향후의 연구
4. 두 가지 적용
5. 결론
06 공공경제학을 다시 생각한다: 경쟁심과 습관의 의미
1. 총합적인 시계열과 횡단면 분석
2. 미시적인 증거: 경쟁심
3. 미시적인 증거: 습관
부록: 국가간 비교
07 아리스토텔레스와 벤담 그리고 밀
1. 워즈워스의 행복한 전사
2. 벤담의 쾌락과 행복
3.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
4. 존 스튜어트 밀의 쾌락과 행복
08 행복과 정치철학: 낸시 미트포드와 에벌린 보그
1. 정치철학에서의 행복
2. 행복과 도덕적 동기
3. 도덕성의 기초로서의 행복
4. 낸시 미트포드와 에벌린 보
09 역경 속의 행복
1. 행복에 관한 연구
2. 역설적인 결과들
3. 역경 속의 행복에 대한 설명
4. 결론
10 아동 양육의 진화
1. 서론
2. 아동 발달 연구에서의 애착 유형
3. ‘패턴 데이터’ 개관
4. 가설과 검정 그리고 결과
5. 행복추구의 프로필
6. 1957년과 1976년의 전국적인 미국인 정신건강 조사를 통해 본 양육 진화에 대한 증거
7. 사회정책 제언
8. 결론
부록 10.1
11 행복과 개인주의: 어려운 결합
1. 서론
2. 이타주의, 사회성, 관계성
3. 협력과 동등교환과 합리성
4. 행복과 선물의 원칙
5. 맺음말
12 경제학에서의 행복의 역설
1. 서론
2. 정치경제학의 탄생
3. 정치경제학에서 (신고전학파) 경제학으로
4. 인간의 행복 탐구에 열려 있는 경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