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복합적 시각의 역사교육
제1부 사회 변화와 역사교육
제1장 지구사와 세계사 교육
1. 세계사 교육의 위기론
2. 세계사 교육이 시각과 재편 방향
3. 맺음말
제2장 문화적 접촉과 교류의 역사
1. ‘문화적 접촉과 교류’로 보는 역사의 의의
2. 접촉과 교류의 역사 내용 선정
3. 접촉과 교류의 역사 내용 구성
4. 맺음말
제3장 탈식민주의와 세계사 교육
1. 역사교육에서 유럽 중심 사관과 식민지 사관
2. 유럽 중심주의 축소와 ‘탈식민적’ 내러티브 재편의 난항
3. 새로운 세계사/지구사의 탈유럽 중심주의의 가능성
4. 맺음말을 대신해: 정전화에 대한 경계
제4장 한국사와 세계사 통합
1. 중학교 ‘역사’ 과목 구성 틀
2. 집합 기억 접근법에 기초한 한국사-세계사 연계 방안의 가능성과 문제
3. 학문적 접근법과 포스트모던 접근법
4. 맺음말
제5장 동아시아 담론과 비교법을 활용한 동아시아사 교육
1. 동아시아사 내용 선정의 원칙
2. ‘비교법’을 통한 다층적 역사 구성
3. 맺음말
제2부 역사 연구의 새로운 방법과 역사교육
제6장 생활사와 생활사 교육
1. 생활사의 개념
2. 생활사 교육의 방향
3. 맺음말
제7장 여성사와 여성사 교육
1. 여성사 연구 방법과 역사교육에서 여성사
2.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여성 관련 내용 구성 방안
3. 맺음말
제8장 신문화사와 역사교육
1. 신문화사와 역사 학습 계열화의 새로운 가능성
2. 역사 이론의 발생적 논리에 기초한 역사 학습의 계열화
3. 식문화사적 역사 읽기와 역사 읽기 학습의 계열화
4. 맺음말
제9장 박물관과 역사교육
1. 역사의 효용
2. 박물관 역사 전시의 ‘잠재적’ 교육 방향과 역사 수업
3. 박물관 활용 역사 수업에서 역사 문해력의 중요성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