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텍스트 해석의 혁명가 강명관 교수. 그가 이번에는 조선시대 여성의 시각적 이미지에 주목하여, 이 그림들에 제작 주체인 남성의 욕망과 의도가 투사되고 있음을 밝힌다. 이 책은 여성을 종속되는 존재로 얽매고자 했던 조선시대 유교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그림을 통해 사대부 남성의 이율배반적인 욕망을 관철시키려 했는지, 그 은밀한 역사의 기록을 추적한다.
책머리에
서장. 고려-회화로 보는 고려 여성의 얼굴 초상화 두 점으로 남은 고려시대 여성
1장. 조선 전기-유교의 이름 아래 가려지는 여성들 1. 유폐되는 여인들 : 유교적 가부장제와 조선 여성의 형상 2. 점차 사라져가는 여인의 얼굴 : 초상화 봉안 풍습의 쇠퇴 3. 미인도는 왜 남겨두었을까? : 도 덕적 매뉴얼과 미인도의 미학 4. 가부장적 미덕을 강요하다 : 설교의 수단으로 그려진 여성 그림 5. 숨기지 못한 남성 욕망의 흔적들 : 계회도에 그려진 계집종과 기녀
2장. 조선 후기-남성의 시선으로 그려진 여성의 세속 1. 본격화하는 가부장제 : 여성 형상에 변화를 가져온 요인들 2. 절개를 위해 신체를 희생하다 :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열녀 형상 3. 효 권하는 사회 : 양로연도와 경수연도 4. 잘난 남자의 부록으로 그려지다 : 회혼례도와 평생도 5. 국가와 가족의 경제를 떠받치는 손 : 경직도와 속화에 표현된 여성의 노동 6. 여자를 엿보고 여자 때문에 싸우고 : 가부장제의 성적 욕망과 여성 형상
3장. 길들여지지 않는 여성주체 1. 열녀와 절개의 이면 : 가부장제에 대한 적응과 반발 2. 절로 향하는 여자들 : 신앙적 주체로서의 여성 3. 쾌락은 감금되지 않는다 : 쾌락적 주체로서의 여성 형상
맺음말 ‘주체’로서의 조선 여성
주 그림 목록 찾아보기
목호의 난 : 1374 제주2019 / 정용연 지음 / 딸기책방
고려 開京·京畿 연구2018 / 지음: 정은정 / 혜안
(하룻밤에 읽는)고려사2022 / 지음: 최용범 / 페이퍼로드
고려와 원2022 / 지음:도현철 / 동북아역사재단
어떤 제국과의 조우 2024 / 지음: 이강한 / 경인문화사
고려·몽골 관계 깊이 보기 2022 / 이명미 지음 / 동북아역사재단
원간섭기 고려의 측근정치와 개혁정치 2018 / 지음: 김광철 / 景人文化社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2015 / 강명관 지음 / 휴머니스트
왕과 아들 : 조선시대 왕위 계승사2013 / 강문식, 한명기, 신병주 [공]지음 / 책과함께
조선, 그 마지막 10년의 기록 : 1888 ~ 18972018 / 지음: James scarth gale ; 옮김: 최재형 / 책비
경복궁: 조선의 으뜸가는 궁궐! = Gyeongbokgung palace 2020 / 저자: 유정희, 김성보, 양재현, 알렉산더 구보 / 응용한국학연구소
(역사 선생님도 가르쳐주지 않는)조선왕조 건강실록 : 반전과 미지의 기록 《승정원일기》에서 찾은 조선 왕실 사람들 생로병사의 비밀2017 / 고대원 [외]지음 / 트로이목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