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제1장 바뀐 세상, 새로운 사람들
01 놀아야 잘사는 세상
박지성은 왜 경기를 즐길까 / 자기절제에서 자기실현으로 / 즐거우면 노력하고 노력하면 성취한다 / 다양성이 창조성을 만든다
02 우리 모두가 만드는 세상
당신의 행동은 힘이 세다 / 새로운 변화는 사람들을 진보적으로 만드는가? / 자기실현적 가치를 지닌 네트워크된 개인이 만드는 세상 / 창조는 진보적이다. 그리고 진보적이어야 한다
제2장 창조적 진보세대의 탄생
01 새로운 폭발과 세대갈등
보수는 왜 노무현을 부관참시하는가? / 갑자기 일어나는 폭발들, ‘촛불시위’에서 ‘안녕하십니까’까지 / 세대갈등과 세대의식, 기울어진 운동장은 없다 / 40대는 민주화 1세대, 정보화 1세대이다
02 민주화와 권위의 해체
민주화는 정치 그 이상이다 / 1990년대에 ‘신세대’가 있었다 / 민주화가 한류를 만들었다 / 김대중의 탈분단화, 노무현의 탈권위주의화
03 정보화와 합리적 대중의 탄생
인터넷에서 진실을 알다 / 카페에서 신뢰를 배우다 / 직설 혹은 솔직함, ‘나꼼수’에서 ‘마녀사냥’까지 / 롱테일 사회학, 인터넷은 다양성을 기른다
04 창조적 세력이 경제적 진보세력이 되다
세대갈등은 계급갈등이 아니라 문화갈등이다 / 이명박 효과와 창조적 진보세대의 형성
제3장 보수는 염치가 없고 진보는 눈치가 없다
01 문제는 이념이 아니라 상식이다
염치없는 사람들, 개념 있는 사람들 / 상식은 현대적인 것이다 / 상식에는 성역이 없다 / 좌파와 빵꾸똥꾸는 얼마나 다른가?
02 문제는 보수가 아니라 낡음이다
보수세력의 정신분열증과 민주주의 / 민주주의, 현대의 상식 / 참을 수 없는 정권의 촌스러움 / 녹조라테, 경제적 합리성의 붕괴 / 좀비사회, 그 참을 수 없는 무능함
03 문제는 싸가지가 아니라 대안이다
민주/반민주 프레임에서 보수/진보 프레임으로 / 우리 정치의 불행, 열광과 좌절의 싸이클 / 중도라는 허구 / 증오시대의 종언? 중요한 것은 비전이다
제4장 정치의 재구성: 진보는 무엇을 대변해야 하는가?
01 보수/진보 프레임을 넘어서
진보와 보수는 현실의 갈등에 의해 규정되어야 한다 /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다
02 정치적 진보, 자유주의가 문제이다
대북갈등은 모험세력 대 안정세력 간의 갈등이다 /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은 반공주의인가? / 민주주의의 위기 / 미래를 위한 정치적 진보, 자유주의
03 경제적 진보, 신자유주의와 재벌공화국 넘어서기
재벌의 나라, 족벌의 나라 / 묻지마 범죄. 그리고 일탈사회 / 신자유주의를 극복하면 복지국가가 올까? / 왜 한국 사람들은 신자유주의를 쉽게 받아들였을까? / 애플은 햄버거 장사를 하지 않는다 / 대표되지 못하는 경제적 진보
04 문화적 진보, 연고주의를 넘어서
강남좌파, 사상이 울퉁불퉁한 사나이 / 아버지, 친구, 그리고 연고주의 / 조폭공화국 / ‘마피아’, SNS, 그리고 정체성 전쟁 / 네트워크적 주체, 그리고 창조적 진보세대 / 왜 보수세력은 선거에서 항상 이길까?
제5장 희망고문사회를 넘어서
01 진보 새로 쓰기
왜 노무현은 성공했는데 안철수는 실패했을까? / 진보의 어려움과 무능함 / 상식이 진보다 / 정상성의 회복으로서의 정의 / 미래의 선취로서의 공유
02 진보 새로 하기
창조경제는 복지국가에서 가능하다 / 해라, 하자, 한다와 진보의 리더쉽 / 애플형 정당, 플랫폼 정당 / 문제는 콘텐츠다
03 고통과 기쁨을 같이하는 공감의 정치
고통의 개인화와 정체성의 다원화, 그리고 생활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