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문법 기술과 문법 단위
1. 도구로서의 문법 단위와 실재적 요소로서의 문법 단위
2. 모범생 형태소와 문제아 단어
3. 문장을 이루는 요소
4. 추상적 차원과 실재적 차원의 문장
5. 문법 단위 간의 관계
제2장 문법 단위의 실재성
1. 표기 방식과 문법 단위의 상관성
2. 분석 자료
3. 연철과 분철의 통해 본 형태론적 단위에 대한 인식
4. 띄어쓰기를 통해 본 통사론적 단위에 대한 인식
5. 자연발생적 문법 의식 속의 문법 단위
제3장 형태소
1. 형태소 개념 전개사
2. 형태소의 정의와 외연
3. 형태소는 불필요한 단위인가?
4. 분석의 단위, 도구적 단위로서의 형태소
제4장 단어
1. 무엇이 단어인가? 단어란 무엇인가?
2. 단어의 해체 및 폐기
3. 단어 없이 문법 기술하기
4. 단어, 폐기해야 하는가? 폐기할 수 있는가?
제5장 어절
1. 왜 어절이 문제인가?
2. 어절을 다시 정의하기
3. 어절의 몇 가지 특성
4. 어절의 효용적 가치
5. 문장의 통사 구조와 어절
6. 문장의 의미 구조와 어절
제6장 구와절
1. 구와 절에 대한 주요 선행 연구 정리
2. 구
3. 절
4. 문장 구성 요소로서의 구와 절
제7장 문장
1. 문법 단위의 분석
2. 문장의 정의와 확인
3. 문장 상당 단위의 검토
4. ‘문장’개념 인식의 방향
제8장 이론문과 분석문
1. ‘문장’ 단위의 이원화
2. 이론문과 분석문
3. 이론문과 분석문의 실제 적용
4. ‘문장’ 단위 분석의 남은 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