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동피랑 벽화마을', '에코아일랜드 연대도', '강구안 푸른 골목 만들기' 등 마을 만들기의 사례를 생생한 사람 이야기 중심으로 풀어내고 있다. 다양한 사람들이 지지고 볶고, 울고 웃으며 함께 하는 과정을 질펀한 사투리와 생생한 에피소드로 전한다.
목차
프롤로그 ‘우리 마을 좀 딜다 봐주라’
마을 만들기의 시작 동피랑 사람들과의 만남
마을 이야기 하나 통영항의 동쪽 언덕 위 마을, 색을 입다 - 동피랑 벽화마을 이야기
1 동피랑에 불어온 재개발의 칼바람
2 회의주의자들
3 실수투성이 첫 벽화전
4 이야기가 있는 그림들, 작가들
5 입소문 손소문
6 두 번째 벽화전 ‘동피랑 부루스’
7 더 깊어진 벽화전
8 동피랑에 모인 각양각색의 이야기
9 갈등의 계절
10 불신지옥
11 네 번째, 점프 동피랑
12 8년 만의 첫 소풍
마을 이야기 둘 섬섬옥수로 엮었네 - 에코아일랜드 연대도
1 그 섬에 가고 싶다
2 간택의 이유는 ‘폐교’
3 에코고 개코고 나는 싫어
4 맨발 벗고 밭매기 놀이
5 마음 얻는 일이 제일 힘들어
6 필요해, 커뮤니티 디자인
7 회의는 회의스럽다
8 둘레길 열리면 마음 길도 열릴까
9 배 타고 삼백 몇 번
10 엉겅퀴꽃 뺑덕할배 최오기
11 누리장나무 전씨 아저씨
12 노란민들레 손재희
13 장다리꽃 하향섭, 김혜원
14 순비기나무 이상동 행님
15 나풀나풀 꽃양귀비 손선희
16 착한 행정의 표본 으아리꽃 김경순
17 마을 사무장과 초록 선생님들
마을 이야기 셋 구도심 재생이 머꼬? - 통영 강구안 푸른 골목 만들기
1 마을이 도시를 살린다
2 사람 꼬시기
3 지구를 고려한 착한 기획으로
4 현장 사무소가 된 치과
5 간판 크다고 손님 오나요?
6 흰색 컨테이너의 추억
7 얄룩, 마갈리, 그리고 짱, 장 미셀
8 활동가가 사는 법
9 골목에 찾아든 작지만 큰 변화
10 두드리면 열릴까?
11 가게 자랑, 스토리텔링 간판
12 강구안 골목으로 찾아든 백석
13 주민과 함께하는 보고회, 그리고 또 다른 시작
14 도둑들
15 첫 소풍의 추억
에필로그 동피랑을 위한 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