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프롤로그
1부|서사주제학이란 무엇일까
새로운 비평으로서의 서사주제학
서사주제학 연구 방법과 동향
2부|주제에 따라 쉽게 찾아 읽는 우리 문학
무너진 고향 _ 우리 문학에 나타나는 고향 의 모습
우리 문학에 나타나는 권력의 모습 _ 춘향전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꿈 의 의미
서울, 2014년 가을 _ 우리 문학에 나타나는 도시 의 모습
사람과 동물의 만남 _ 문학 속에 담긴 동물
촛불과 삼룡이 불 _ 문학 속의 불
3부|같은 작품 다른 관점 _ 다양하게 읽는 독후감
현진건 고향을 읽는 두 가지 방법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보는 두 가지 방법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에 대한 두 가지 이해
현진건의 불에 대한 두 가지 이해
4부|서사주제학의 탐색과 확장 _ 작품 다시 읽기와 해석하기
해학과 아이러니의 미학 _ 김유정 론
이태준 단편소설의 명명법 연구
이태준 문학에 나타난 선비의식 고찰 _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결벽성의 시학 _ 최명익의 張三李四 다시 읽기
김승옥 단편소설 연구 _ 일인칭 제한 시점의 의미를 중심으로
여성적 자아로의 길 찾기 _ 오정희 담론의 한 연구
현대 소설의 병리적 상징성 연구 _ 김훈의 화장을 중심으로
회화를 통한 문학적 서사성의 구현 양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