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부_ 17세기 소설사의 제 양상
17세기 전기·몽유록에 나타난 타자 연대와 서로주체성의 의미 / 조현설
1. 타자성과 17세기 소설
2. 타자들의 연대와 서로주체성
3. 타자화된 사유, 또 다른 연대의 형식
4. 전쟁과 연대, 그리고 양식의 변화
5. 맺음, 타자들의 연대와 조선 후기 서사문학
17세기 간행본 서사류의 존재양상에 대하여 / 윤세순
1. 17세기 소설사와 서사류의 간행
2. 서사류 간행상황에 대하여
3. 간행본 서사류의 존재양상
4. 서사류의 방각본 간행 가능성
중국 서사문학의 전파와 조선적 수용의 가능성 / 신상필
1. 고전 서사문학에의 재접근
2. 한문 서사 양식의 공명과 변주
3. 중국 서사 전래와 수용의 또 다른 가능성
4. 서사의 조선적 수용 과정의 의미와 과제
17세기 열녀 담론과 소설적 대응 / 장경남
1. 임진왜란과 열녀
2. 전후 관 주도의 열녀 담론
3. 열녀 담론의 확산
4. 열녀 담론의 소설적 대응
5. 17세기 소설사와 열녀 담론
2부_ 전쟁과 기억
병자호란의 책임 논쟁과 기억의 서사: 인조의 기억과 ‘대항기억’으로서의 「강도몽유록」 / 김정녀
1. 기억의 서사로 읽는 병자호란
2. 병자호란의 책임 소재에 대한 인조의 기억
3. ‘대항기억’으로서의 「강도몽유록」
4. 기억 서사의 역사적 · 문화적 기능
「강로전」에 나타난 전쟁의 기억과 욕망의 서사 / 조현우
1. 권칙과 「강로전」을 둘러싼 의문들
2. ‘실절’의 오명과 그 문학적 대응
3. 심하전투에 대한 변론 : ‘피해자’로서의 ‘나’
4. ‘돌아온 자’의 증오와 연민
5. 전쟁의 기억과 서사 만들기
「김영철전」의 서사적 특징과 서술 시각 / 엄태식
1. 「김영철전」 연구의 시각
2. 박재연본 「김영철전」의 양식적 특징
3. 「김영철전」의 서사적 특징과 소설적 형상화의 양상
4. 이본의 서술 시각과 주제 의식
5. 「김영철전」 연구의 과제와 전망
17세기 중국인 피난민 강세작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 박세당과 남구만의 「강세작전」을 중심으로/ 윤세순
1. 17세기 동아시아 전란과 조선, 그리고 요동 난민
2. 강세작에 대한 다양한 문학적 접근
3. 인물행적의 구성과 형상화 양상
4. 강세작에 대한 17세기 사대부 지식인의 인식태도
3부_ 여성, 그리고 애정
‘행복한 결말’의 출현과 17세기 소설사 전환의 일 양상 / 이종필
1. ‘행복한 결말’의 출현과 확산의 지점
2. 16세기 소설사의 지형 변화
3. 17세기 소설의 가족(문) 지향성과 ‘행복한 결말’
4. ‘행복한 결말’과 여성 주체의 문제
「최척전」의 창작 배경과 열녀 담론 / 엄태식
1. 「최척전」 연구의 쟁점
2. 「최척전」과 「홍도」의 관련 양상
3. 「최척전」의 창작 시기 변증
4. 「최척전」의 열녀 담론과 유씨 이야기
5. 전란의 체험과 17세기 소설사
「운영전」과 갈등 상황의 조정자로서의 자란 / 엄기영
1. 자란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운영전」
2. 자란의 능력과 위상
3. 갈등 상황의 조정과 한계
4. 자란의 실패와 안평대군의 ‘일패(一敗)’, 그리고 수성궁의 퇴락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