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기 다른 분야의 고전문학 전공자인 교수들이 청소년들을 위해 집필한 고전문학 대안교과서. 2권 ‘고전문학, 시대에 말 걸다’에서는 땅[地]의 이야기를 담았다. 예민한 문학적 촉수가 가닿은 소수자의 세계와 인생사의 전부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갈등과 투쟁의 시간들, 삶의 기본 조건인 노동, 그리고 노동과 함께 삶을 지탱하는 풍류와 놀이의 세계에 대해 다룬다.
목차
머리말 열두 가지 삶의 주제로 읽는 고전 문학 이야기 프롤로그 시대를 가로지른 삶의 자취
1. 소수자 옆집 사는 소수자 1 성적 소수자, 여성들의 목소리 2 신분적 소수자, 하층 남성들의 문학적 형상 3 신체적 소수자, 장애인을 보는 눈 4 사상적 소수자, 소수적 지식인의 고투 갈래 이야기 야담, 세상 모든 이야기
2. 갈등과 투쟁 갈등은 문학의 힘 1 전쟁과 죽음, 국가와 개인의 맞섬 2 승자와 패자의 엇갈림 3 순종과 반항의 길항 갈래 이야기 판소리, 누추한 삶을 주인공으로 만든 최고의 노래
3. 삶과 노동 일하면 복이 온다 1 민요에 깃든 노동의 한(恨)과 신명 2 노동의 안과 밖 사이에서 3 노동하는 삶이 아름답다 갈래 이야기 민요, 어울려 부르며 신명 내기
4. 풍류와 놀이 옛사람들의 풍류와 신명 1 시가 속에 깃든 사대부의 풍류 2 여성들의 놀이와 풍류 3 시정에 펼쳐진 전문 예인의 풍류 4 민간의 놀이와 생활 속의 신명 갈래 이야기 가사, 천 개의 얼굴을 지닌 노래
참고 문헌 책명ㆍ작품명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韓中小設의 관계망과 國文小設의 창작2013 / 閔泳大 지음 / 역락
서사문학의 시대와 그 여정 : 17세기 소설사 : a study about history of Korean fiction on 17th century2013 / 지은이: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 / 소명출판
서사문학의 시대와 그 여정 : 17세기 소설사 : a study about history of Korean fiction on 17th century2013 / 지은이: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 / 소명출판
원홍장과 심청전2004 / 박혜범 저 / 박이정
한국 고전문학의 여성적 시각 = Feminist perspectives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2017 / 지음: 박혜숙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