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1. 만주 사람들 / 윤은숙
Ⅰ. 싱안령, 북방민족의 역사 요람이 되다
Ⅱ. 탁발선비의 남하, 새로운 역사의 시작
Ⅲ. 예맥계 종족은 어디에 살고 있었을까?
Ⅳ. 몽골족은 어디서 왔을까?
Ⅴ. 누가 오랑캐인가?
2. 만주어와 만주 문자 / 연규동
사라져버린 만주어
만주어의 시작
만주어의 절멸 과정
만주 문자의 역사
글을 쓰는 관리 - 비터시
중국 고전의 만주어 번역과 사전 편찬
만주어와 시버어
만주어와 여진어
『조선왕조실록』등의 여진어
여진 문자
숙신, 읍루, 물길, 말갈어 언어
만주어와 만주퉁구스 어파
만주어와 알타이어족
반알타이어족설
언어의 계통적 분류
언어의 비교
만주어와 한국어
옛 만주 지역의 언어
3. 고대 만주 지역의 민속문화 / 장준회
Ⅰ. 중국 동북지방 민속문화는 만주 문화의 원형
Ⅱ. 농경과 수렵을 통한 음식문화의 다양성
Ⅲ. 서상옥과 당옥, 동하층으로 지어진 3면 온돌 가옥
Ⅳ. 소박하고 우아한 치파오와 북방양식의 복식문화
Ⅴ. 전통명절과 세시풍속에서 살아남은 에스니시티
Ⅵ. 춤과 노래로 배우자를 선택하는 혼인풍습
Ⅶ. 샤머니즘적인 토장과 장례문화
4. 옛 만주 지역의 종교문화 / 최준
Ⅰ. 머리말
Ⅱ. 용의 기원 - 중화제일용
Ⅲ. 여신과 샤먼의 탄생
Ⅳ. 부여의 왕은 왜 살해되었나
Ⅴ. 하늘의 자손[天孫]과 하늘의 대리인[天子]
Ⅵ. 맺음말
5. 만주 지역의 신화 이야기 / 김선자
Ⅰ. 만주, 그 땅과 신화
Ⅱ. 활과 관련된 신화
Ⅲ. 나무의 신화
Ⅳ. 어둠과 싸우는 빛의 여신들
Ⅴ. 동물과 관련된 신화들
Ⅵ. 맺음말
6. 만주의 선사고고학 / 김정열
Ⅰ. 머리말
Ⅱ. 만주 지역의 고고학 연구
Ⅲ. 인류의 출현과 초기 취락의 형성
Ⅳ. 뉴허랑의 고대 신시(神市)
Ⅴ. 랴오허 동쪽의 신석기문화
Ⅵ. 랴오시 지역의 청동기문화와 그 사회
Ⅶ. 랴오둥 지역의 청동기문화와 그 사회
Ⅷ. 맺음말
7. 요하 유욕 출토의 소위 '여신상'고찰 / 장석호
Ⅰ. 중국 요령성 우하량과 동산취 유적 출토의 인물상들
Ⅱ. 세계의 선사시대 여성상
Ⅲ. 선사시대 여성 비너스상의 특성
Ⅳ. 요하 유역 출토 인물상은 과연 여성상인가?
Ⅴ. 맺음말
8. 고대 만주 지역의 음악문화 / 박소현
Ⅰ. 중국대륙의 고대음악은 동서 음악문화의 경정체
Ⅱ. 소수민족 음악문화와 알타이어계 민요
Ⅲ. 암각화를 통한 고대 최초의 음악가
Ⅳ. 샤먼 신가(神歌)와 북[鼓]
Ⅴ. 고대 궁정음악과 타악기 장고
Ⅵ. 고대 만주 지역 음악문화의 한계성
9. 만주의 자연환경 / 장주용
Ⅰ. 머리말
Ⅱ. 만주의 인문환경
Ⅲ. 만주의 지형과 식생
Ⅳ. 만주의 지질과 지체구조
Ⅴ. 만주의 화산활동 - 장백산(백두산)
Ⅵ. 만주의 제4기 환경
Ⅶ. 만주의 건조지형
Ⅷ. 만주의 호소 환경과 변화
Ⅸ. 만주의 홍개호 고환경변화
Ⅹ. 만주의 경박호 고환경변화
Ⅺ. 만주의 호소 연구 전망
Ⅻ.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