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을 펴내면서
1부 고대 동아시아 목간 연구의 현황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의 목간 출토 및 연구 현황 / 김경호(金慶浩)
1. 머리말
2. 죽간·목간 출토 및 연구 현황
3. 목간 연구의 인프라 구축
4. 맺음말 - 향후의 연구 과제
한국목간연구의 현재 / 이성시(李成市)
신라목간연구의 성과를 중심으로
머리말
1. 신라목간 분류의 전제
2. 신라의 문서목간
3. 신라의 부찰목간
4. 기타 - 습서와 식자교본
맺음말
중국의 목간 / 이승률(李承律)
1. 머리말
2. 보편적인 서사재료로서의 목간
3. 목간의 출토 현황
4. 목간의 특징과 용도
5. 맺음말
2부 한국 목간의 세계
목간(木簡)으로 본 한자문화(漢字文化)의 수용(受容)과 변용(變容) / 윤선태(尹善泰)
1. 머리말
2. 다면목간과 하찰
3. 부호와 공격
4. 차자표기
5. 맺음말
한국 경주 안압지 출토 ‘책사(策事)’ 목간에 관한 시론 / 뤼징(呂徵), 이하얀, 장러(張樂)
1. 머리말
2. 안압지 유적의 발굴과 ‘책사’ 목간의 발견
3. 책사의 발생과 변천
4. 통일신라시대 ‘책사’ 제도에 관한 초보적 고찰
5. 맺음말
3부 문자와 언어의 세계
목간(木簡)을 통해본 한국(韓國)의 문자(文字)와 언어(言語) / 이용현(李鏞賢)
1. 한국 목간의 기원
2. 백제의 목간과 문자언어
3. 신라의 목간과 문자언어
4. 고려의 목간과 언어
맺음말
출토자료를 통해서 본 중국 고대의 문자와 언어 / 오오니시 가쓰야(大西克也)
1. 머리말
2. 출토자료의 유효성: 부정사 ‘불弗’과 ‘불不’을 제재題材로
3. 언어는 어떻게 문자화되었는가: 표어문자 모델
4. 전국문자의 실태: 착종하는 문자와 언어의 관계
5. 문자 통일이란 어떤 사업이었는가
6. 문법 체계의 해명과 출토자료의 역할: 능격동사能格動詞(ergative verb)와 대격동사對格動詞(accusative verb)의 구조
일본 고대의 문자와 언어 / 미카미 요시타카(三上喜孝)
1. 머리말
2. ‘정치적 의례’와 문자: 5세기의 철검 명문
3. 통치 수단으로서의 문자: 7세기 목간
4. 문자 문화의 체계화: 7세기 후반~8세기 전반
5. 맺음말
4부 목간과 진한제국
상서(湘西)와 리야진간(里耶秦簡)과 진대(秦代) 역사 연구 / 부센친(卜憲群)
1. 서언
2. 리야진간里耶秦簡의 발견發見과 정리整理 상황狀況
3. 리야진간과 진대 문서제도文書制度의 연구
4. 리야진건과 진대秦代 정치사政治史, 법제사法制史연구
5. 리야진간과 진대 호적戶籍, 가정家庭, 그리고 제사제도際祀制度연구
6. 리야고성과 역사지리歷史地理에 대한 연구
리야(里耶) 행정문서(行政文書)의 운영을 통해본 진왕조(秦王朝)의 기층통치(基層統治) / 후핑셩(胡平生)
1. 서언序言
2. 상·하행 문서의 전달방식
3. 평행 전달 문서
4. 결론
수학(數學)과 한대(漢代)의 국토관리(國土管理) / 펑하오(彭浩)
1. 국토통게國土統計에서의 “이전술理田術” 운용運用
2. 『이년율령二年律令』의 “택도宅圖『
《한서(漢書)·문제기(文帝紀)》
“양로령(養老令)” 신고(新考) / 쟈오카이(趙凱)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