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 서영수[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장]
Part 1 한국과 동북아의 청동기 문화와 복합사회
제1장 遼西지역의 청동기문화와 복합사회의 전개 / 김정열
Ⅰ. 서론
Ⅱ. 요서 지역 청동기문화의 전개
Ⅲ. 청동기시대 요서 지역 사회
Ⅳ. 결론
제2장 동북아시아 속의 한국 청동기문화권과 복합사회의 출현 / 오강원
Ⅰ. 머리말
Ⅱ. 동북아시아의 청동기문화와 한국 청동기문화권
Ⅲ. 한국 청동기문화권에서의 복합사회의 출현
Ⅳ. 맺음말
제3장 東北亞地域에서의 多鈕鏡 副葬墓의 展開 / 이청규
Ⅰ. 머리말
Ⅱ. 銅鏡의 型式分類와 時期區分
Ⅲ. A形 多鈕鏡 段階(紀元前 9~5世紀)
Ⅳ. B形 多鈕鏡 段階(紀元前 4~3世紀)
Ⅴ. C形 多鈕鏡 段階(紀元前 3~2世紀)
Ⅵ. 結論
Part 2 동아시아의 청동기문화와 국가 형성
제4장 청동기ㆍ철기시대와 한국문화 / 최몽룡
Ⅰ. 머리말
Ⅱ. 청동기시대
Ⅲ. 철기시대
Ⅳ. 맺음말
제5장 서주 청동예기를 통해 본 중심과 주변, 그 정치 문화적 함의 / 심재훈
Ⅰ. 머리말
Ⅱ. 서주 청동예기의 표준과 그 추이
Ⅲ. 표준의 고수: 봉국(封國)출토 청동예기
Ⅳ. 동화와 미숙한 독자성 추구: 주변세력
Ⅴ. 주식(周式) 청동기의 유입, 그 예제에는 무관심: 이방
Ⅵ. 맺음말
제6장 일본열도의 청동기와 국가형성 / 宮里 修
Ⅰ. 머리말
Ⅱ. 청동무기류 제사권
Ⅲ. 동탁제사권
Ⅳ. 야요이 제사권과 고분제사
Ⅴ. 맺음말
Part 3 북방 초원의 청동기 문화
제7장 남(南)시베리아 미누신스크 분지의 청동기시대 고래 문화들 / H.A. Боковенко
Ⅰ. 머리말
Ⅱ. 아파노시예보 문화
Ⅲ. 오쿠네보 문화
Ⅳ. 안드로노프 문화
Ⅴ. 카라스크 문화
Ⅵ. 타가르 문화
Ⅶ. 맺음말
제8장 몽골 초원의 청동기 문화와 석인상 연구 / Д. Эрдэнэбаатар
Ⅰ. 몽골지역의 청동기 문화 연구
Ⅱ. 치예무르치예크 문화의 석인상
Ⅲ. 치예무르치예크 문화의 기원과 범위
Ⅳ. 사슴돌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