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학습자의 마음속에 우주 삼라만상의 모든 진리가 들어 있다는 ‘만두모형 교육관’에서 찾는 우리 교육의 미래. 일견 도토리모형과 유사한 듯하지만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도토리모형이 점진적이고 누적적인 데 반해 만두모형은 돌발적이고 순간적이다. 도토리 싹이 한참 동안 웅크리고 있다가 한순간 커다란 참나무로 훌쩍 자라는 일은 없지만, 만두모형 교육관에서는 씨앗과 나무 사이의 거리가 없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저자의 말
제1부 만두모형 교육관
1. 현대 문명의 세 가지 기둥
2. 통일체적 세계관
3. 만두모형 교육관
4. 도량모형의 학교
5. 수행과 낙도로서의 자기실현
6. 종교교육과 죽음교육
7. 한국 전통교육의 탈현대적 의미
제2부 한국의 전통교육
1. 본원적 교육 양식과 제도적 교육 양식
2. 마음공부로서의 불교교육
3. 방棒과 할喝의 교육적 의미
4. 야단법석野壇法席 - 불교의 사회교육
5. 강제시비講製是非 - 조선시대의 교육평가
6. 성인聖人교육으로서의 서원교육
7. 정문旌門과 훼가출향毁家黜鄕 - 조선시대 사회교육
8. 오두역거烏頭力去 - 성리학의 사제관계
9. 독서와 정좌靜坐 - 서원의 교육방법
10. 장혼張混 - 한국의 페스탈로치
제3부 한국의 근현대 교육
1.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학교
2. 갑오교육개혁
3. 교육구국운동
4. 황민화 교육
5. 민족교육운동
6. 미군정기의 교육 주도 세력
7. 새교육운동
8. 교원노조운동
9. 발전교육론
10. 우리의 교육지표 사건
11. 무즙 파동과 창칼 파동
12. 7·30 교육조치
13. 5·31 교육개혁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