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 심리학, 인류학, 사회학, 통일학으로 들여다본 서울 시민들의 삶과 정신건강, 사회의 변화 등을 꼼꼼하게 짚어낸 서울이라는 도시에 대한 정신 분석 보고서. 이 책에 실린 글들을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가 어떤 곳인지, 살아가는 데 적절하고 건강한 도시인지, 앞으로 그런 공간이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구체적으로 해야하는지를 고민할 수 있다.
목차
서문
1부 서울의 문화와 정신건강 문화와 정신건강 / 전우택 서론 정신건강의 이해와 과제 문화와 정신건강 도시 문화와 정신건강 정신건강을 지원하는 문화정책 정신건강을 위한 서울시의 새로운 도전 서울시민들의 일상생활 성격형성과 멘탈리티 / 송도영 일상생활 구조와 성격의 형성 역사적 맥락 : 근현대사 돌아보기 도시 폭발 : 변화의 속도성과 멘탈리티 서울주민의 일상성 희망의 탐색 참고문헌 서울시와 다무화살이 / 유시은 이주를 넘어 다문화로 한국의 수도 서울, 다문화 어디까지 왔나 서울시 다문화를 위한 과제 참고문헌
2부 서울시민의 마음을 더 건강하게 서울의 치유하는 문화 형성/ 한성열 문화는 패턴이다 문화와 성격의 변증법 문화적 병리 서울시의 문화 병리(물상화된 객과문화) 문화 병리를 다루는 방식 무엇이 긍정적인 문화인가? 긍정적 문화치유 사회적 덕목 개발을 위한 사회 - 문화적 뒷받침 서울, 긍정적 문화를 가진 도시 참고문헌 서우리 정책과의 연계성 측면에서 본 정신건강 / 전효관 왜 도시의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정책이 필요한가 정신건강과 관련한 사회적 징후들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시도들의 원칙은 무엇인가 그렇다면 어떻게 출발할 것인가 경계를 넘어 협력하는 도시, 서울 서울문화와 지역사회정신보건 / 이명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인식은 개선되고 있다? 편견과 차별의 문화 : "우리 동네에서 나가라" 정신질환자의 자타해 위험에 대한 소고 가족문화와 정신질환 개인과 사회적 가치체계로서의 정신건강 서울시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과 서울시정신건강브랜드 '블루터치' 청년정신건강과 초기정신증(Early Psychosis) : "20대에 미치다" 한 걸음씩! 회복의 촉진과 만성화의 예방 : 서울시 STEP 프로젝트 서울시 자살 관련 현황 자살에 대한 인터넷 미디어 보도 형태 한 사람의 자살은 비극이지만 만 삼천 명의 자살은 통계이다? 자살예방, 네트워크를 통한 해법 자살유족, 희망의 꽃을 피우기까지 노숙인은 도시문화의 어쩔 수 없는 부산물인가? "거리 노숙인의 중독과 정신질환에 대한 개입이 절실하다" 술에 취해 있는 도시! 정책적 제언 사람이 함께 사는 도시를 위해 참고문헌
3부 서울 문화의 특징과 정신역동 정신역동적 관점에서 본 서울의 문화적 특징 / 민성길 서론 한국문화의 발달 현대 한국 문화현상의 특징 한국문화에 대한 진단 한(恨), 한국의 문화 코드 결론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아수라장의 모더니티2015 / 지음: 박해천 / 워크룸 프레스
아수라장의 모더니티2015 / 지음: 박해천 / 워크룸 프레스
콘크리트 유토피아2011 / 박해천 지음 / 자음과모음
프레스턴, 더 나은 경제를 상상하다: 쇠퇴한 지방 도시에서 영국 최고의 도시로 거듭난 프레스턴 이야기2023 / 지음: 매튜 브라운; 리안 존스 [공]; 옮김: 김익성 / 원더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