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사와 여성'이라는 주제에 10년 넘게 천착해온 역사학자 이임하의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이 책은 '전쟁미망인'을 다룬다. 한국전쟁의 과정에서 탄생한 전쟁미망인은 '국가적 차원의 전쟁'이 '개인의 일상'에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생생하게 드러낼 뿐 아니라, 전쟁 후 국가가 어떻게 개인에게 전쟁의 책임을 전가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목차
책을 내면서
프롤로그 : 한국전쟁과 '전쟁미망인' 1 전쟁, 그 뒤로도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남긴 상처 2 왜 '전쟁미망인'인가? 3 어떻게 들을 것인가? 4 누구를 만났는가?―'전쟁을 맞으며' 살아온 여성들
1부 전쟁과 집 밖 세상 1 군경미망인의 전쟁 경험 남편과의 이별 그리고 전사 통지서 집 밖 세상으로의 피난 2 피학살자미망인의 전쟁 경험 끌려간 남편 그리고 학살 남편 찾아다니기 3 상이군인미망인의 전쟁 경험 상이군인과 결혼하기 전쟁의 상흔을 안고 살아가기
2부 낯선 세상에서 생존하는 길 1 농업 노동과 가사 노동 2 행상과 좌판 3 여성 전문직, 바느질 4 정규직, 공장노동자 5 전쟁미망인 노동의 특징
3부 가부장과 '아직 죽지 아니한 아내' 1 결혼하기 2 일상의 감시와 통제 '며느리' 만들기 '아내' 감시하기
4부 여성가장과 새로운 공간의 창출 1 공간 만들기와 전략들 분가-남편의 집을 나와 새로운 공간을 만들다 의지할 곳을 찾아 나선 피학살자미망인 출산으로 존재 확인하기 2 여성 가장이 만든 가족 '강한' 어머니 아버지의 영역과 부재 3 전쟁미망인과 '여성 가장'이라는 여성주체 전쟁미망인의 법률적 지위 살아가는 법
5부 봉쇄된 균열 1 국가폭력과 침묵하게 하기 개인의 슬픔을 초월하기 금지된 추모와 기념 2 전쟁미망인의 섹슈얼리티 모성애인가, 이성애인가 재혼에 대한 담론 전쟁미망인의 몸은 시가의 소유 3 전후 처리에서 선택된 여성과 배제된 여성들 전쟁미망인들을 위계화하기 전쟁 피해자, 2만 명뿐인가? 위계화의 효과
에필로그 : 전쟁과 트라우마 ― '전쟁은 없어야 돼'
미주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한국전쟁 일기2011 / 윌리엄 T. 와이블러드 엮음 ; 문관현 ; 손석주 ; 김택 ; 오충원 옮김 / 플래닛미디어
한국전쟁 = (The) Korean War : 한국전쟁에 대해 중국이 말하지 않았던 것들2013 / 왕수쩡 지음 ; 나진희 ; 황선영 옮김 / 글항아리
한국전쟁 = (The) Korean War : 한국전쟁에 대해 중국이 말하지 않았던 것들2013 / 왕수쩡 지음 ; 나진희 ; 황선영 옮김 / 글항아리
남아프리카공화국군 6·25전쟁 참전사 : 영원한 동반자, 한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2015 / 저자: 원태재, 국가보훈처 / 생각쉼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