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살사, 자이브, 파소도블레 등 열정과 관능의 춤 ‘라틴댄스’에서부터 욕망과 유혹의 춤 ‘탱고’, 예술적 황홀경의 ‘플라멩코’, 커플댄스의 혁명 ‘왈츠’, 지배권력의 과시 ‘궁정댄스’까지, 인간의 가장 아름다운 몸짓 ‘춤’에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목차
서문 누가 커플댄스를 두려워하랴!
1장 열정과 관능, 라틴댄스
라틴음악의 뿌리는 마야·잉카 문명 : 세계적인 춤의 유행을 이끌어 온 라틴아메리카
춤·음악·시의 통합체, 쿠이카틀 : 사회적 특권 누린 아스텍 예술가들
흑인들의 춤과 음악, 산테리아와 캉동블레 : 삼바·탱고의 기초는 흑인 음악
리우 카니발의 꽃, 삼바 : 인종과 계급의 차별이 사라지는 카니발 축제
삼바와 모던재즈의 결합, 보사노바 : 도시적 감성의 백인 상류층 음악
관능적인 사랑의 춤, 룸바 : 다양한 아프리카 댄스 리듬의 총체
쿠바 리듬에 모던재즈 섞은 맘보 그리고 차차차 : 아바나의 별빛 아래서 춤추다
쿠바 리듬의 모든 것, 살사 : 삶의 의욕 일깨우는 카리브의 매콤한 맛
살사에서 메렝게, 바차타로 : 격식 갖춘 무도회장은 싫어
사랑 고백의 기회를 주는 춤, 볼레로 : 연인간의 거리는 망각을 의미한다
찰나가 생을 결정짓는 투우장의 춤, 파소도블레 : 남자는 투우사, 여자는 투우사의 그림자?
최초의 대서양 횡단 비행사 이름 딴 린드버그댄스 : 자이브, 린디홉에서 지터벅을 지나 로큰롤까지
국내 댄스동호회 인터뷰
2장 채워지지 않는 욕망, 탱고
처녀를 사로잡는 유혹의 기술 :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춤
교황과 황제도 막지 못한 탱고 열풍 : 가정을 파괴하는 음란하고 야만적인 춤?
아프리카의 리듬, 유럽의 선율, 남미의 정서 : 정복과 이민을 통한 세 대륙의 섞임문화
낮에는 피아노 교습, 밤에는 탱고 연주 : 탱고를 발전시킨 피아니스트들의 힘
유성영화가 탄생시킨 꽃미남 스타가수 : 불멸의 탱고 황제 카를로스 가르델
재즈와 클래식의 만남, 탱고 누에보 : 젊고 새로운 탱고를 창조한 아스토르 피아졸라
탱고에 남아 있는 아르헨티나 기사도 : 남성을 가장 남성답게, 여성을 가장 여성답게
「여인의 향기」 탱고는 사이비? : 영화 속 탱고 명장면들, 정통 탱고는 얼마나 될까
탱고의 세계화 바람을 일으킨 탱고 '쇼' : 엔터테인먼트 상품으로 만든 탱고 판타지아의 성공
실연의 아픔을 노래하는 탱고 가사 : 버림받은 남자의 고통은 '도저히' 참을 수 없다
'딴스홀'에서 한복 입고 추던 탱고 : 연령과 관습의 벽을 넘어 우리 곁에 온 춤
“탱고에서 인생을 배운다” - 「탱고 레슨」 : 탱고는 명상 또는 자아수련의 다른 이름
탱고를 즐기는 독일 젊은이들 인터뷰
3장 예술적 황홀경, 플라멩코
억압에 저항하는 분노의 불꽃 : 원초적 에너지가 넘치는 집시들의 춤
가족잔치판의 노래에서 카바레의 레퍼터리로 : 무대 예술로 상업화되면서 국제적 예술로 발전하다
타고난 미성이 장애가 되는 음악 : 인간의 본성과 열정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플라멩코 칸테'
플라멩코의 무대화로 기타는 필수가 되고 : 가난한 집시 연주자들 위한 플라멩코 기타
내면을 향하는 춤, 플라멩코 : '집시 스타일'과 '스페인 스타일'로 나뉘어
접시와 술병을 깨는 플라멩코 관객들 : 접신(接神)과 유사한 예술적 황홀경의 체험, 두엔데
한국적 플라멩코의 실험
4장 커플댄스의 혁명, 왈츠
보수와 혁명의 상반된 상징 : “우리가 원조”, 사연도 많고 말도 많은 춤
여왕 폐하와 함께 춤을 : 프랑스식 왈츠에 매혹된 엘리자베스 1세
처녀는 감히 출 수 없었던 초기 왈츠 : 왈츠에 빠져 자식도 잊어버린 프랑스 어머니들
빈의 안정된 경제가 일군 왈츠의 토양 : 예술로 정치적 저항을 봉쇄한 유럽 군주들의 전략
끝없이 회전하며 도취와 무아의 경지로 : 실업 위기에 직면한 댄스 교사들이 발전시킨 예술적 왈츠
국민 왈츠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 클래식 음악사상 최초의 '국제 히트곡'
댄스 애호가 괴벨스와 왈츠 : 호적을 날조해 슈트라우스 왈츠를 건진 나치의 문화정책
소비에트에서의 왈츠 수난 시대 : '마르크스주의 귀족'들의 왈츠를 탄압한 스탈린
빠르고 경쾌하게, 폭스트로트와 퀵스텝
5장 지배권력의 과시, 궁정댄스
구속받는 귀족, 자유로운 평민 : 긴 드레스와 딱 붙는 바지 때문에 어색하게 춤춘 귀족들
오직 한 사람의 군주를 위한 궁정무도회 : 춤으로 지배권력을 강화한 태양왕 루이 14세
춤을 위한 춤곡 vs. 음악을 위한 춤곡 : 상공업자들의 극장 투자로 시작된 콘서트 유행
냉정함의 미덕을 강조하는 귀족 춤, 미뉴에트 : 귀족에게 춤은 취미가 아니라 필수과목
공포의 '빨간 구두' : 신을 찬미하지 않는 춤은 악마의 춤
댄스 교사의 생존 전략 : 쉬운 춤을 복잡하게 포장하는 기술
춤과 더불어 사는 '보통사람들' 인터뷰
주요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