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엮은 이동성 교수는 최근 3년 동안 농어촌지역의 소규모 학교를 연구하였고, 시도교육청과 정치권을 중심으로 일부 연구결과를 공유하기도 하였다. 이 책의 쓸모는 여러 조각으로 흩어져있는 소규모 학교 관련 논문들을 하나의 일관된 이야기로 엮어서 작은 학교에 대한 이해와 접근성을 높이는 데 있다.
목차
펴내는 글 추천사
제1부 작은 학교의 한계와 가능성: "위기를 넘어 기회로" 제1장 학교 통폐합 정책과 지방소멸: "학교는 사회자본" 제2장 농어촌지역 작은 학교의 교육적 가능성: "규모의 경제 논리에 대한 역발상"
제2부 작은 학교의 생존을 위한 전략: "전라북도교육청 어울림학교 정책" 제3장 작은 학교와 마을을 결합하기: "마을학교협력형" 제4장 작은 학교들의 결합으로 공동교육과정 운영하기: "작은 학교협력형" 제5장 작은 학교와 큰 학교를 연결하기: "공동통학구형" 제6장 농어촌에서 특색 있는 학교교육과정을 운영하기: "테마형"
제3부 작은 학교에서 희망을 노래하는 사람들 제7장 교직원들이 자기반성적 글쓰기와 컨퍼런스: "삶 읽기와 글쓰기, 그리고 대화" 제8장 지속가능한 학교발전을 위한 교장의 정체성과 역할: "학교자치의 파수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