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활동사진이 유입되고 1892년 인천에 우리나라 최초의 극장 인부좌(仁富座)가 설립된 시기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되는 1945년에 이르기까지, 한국영화의 주요 장면과 사건, 인물, 영화운동, 영화이론, 작품, 관련 기록을 포괄적.종합적으로 기술한 책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1부 1892-1925 영화 유입과 영화산업의 형성 / 한상언
1 영화 유입과 극장 설립
극장과 흥행업의 탄생
활동사진 유입
언어와 문화 차로 이원화된 서울의 극장
2 영화산업의 형성
활동사진 상설관 등장
닛다 연예부와 하야카와 연예부
우미관과 단성사
활동사진시대의 꽃, 변사
3 연쇄극과 영화 제작의 시작
연쇄극 유입과 제작
일본인 상설관의 극영화 제작
조선총독부의 영화 활동
경성일보사의 영화 제작
4 극영화의 시대
극동영화구락부의 〈국경〉
동아문화협회와 단성사 촬영부
조선키네마주식회사
백남프로덕션과 계림영화협회
영화 검열
2부 1925-1935 영화, 영화인, 영화운동 / 이효인
1 1920년대 중반, 조선영화 장場의 각축
근대영화의 출발, 유랑하는 이경손·변사 감독 김영환
근대영화사의 절반, 나운규
〈아리랑〉, 통속성과 외래성 그리고 민족성
심훈과 ‘먼동이 틀 때’
대중문화 시장의 각축, 라디오 매체의 등장과 경성방송국
영화를 찬양하는 모임, 찬영회
2 조선영화의 새로운 시도
조선영화예술협회
신흥영화예술가동맹의 결성과 해체
근대영화의 시도, 카프KAPF영화
주인규 그룹과 적색노조영화
카프 검거사건
3 1930년대 초반, 조선영화 장場의 변화
근대영화의 대중성, 최독견·윤봉·이규환·안종화
경향영화에서 대중영화로
3부 1935-1945 발성영화시기에서 전시체제까지 / 정종화
1 발성영화라는 모색
토키의 시도(들)
경성촬영소의 협업協業 시스템
조선 영화인의 분투, 한양영화사
일본영화 촬영소 유학파
무성에서 발성까지, 조선영화의 스타일
2 조선영화 제작 지형의 변화
‘영화 통제’라는 역설적 기회
조선 영화계의 활기, ‘조영’과 ‘고영’
〈나그네/다비지〉 그리고 일본영화와의 합작 경향
조선영화의 이출移出과 ‘내지’ 일본의 수용
3 조선영화의 전시체제
조선영화령과 영화신체제
1940년대 초반 경성 흥행계
조선영화와 내선일체內鮮一體
문화영화 : ‘조선문화영화협회’와 ‘조선영화계발협회’
최인규의 〈수업료〉와 〈집 없는 천사〉가 말해주는 것들
4 국책영화라는 장場
조선영화의 마지막 모색
‘조선영화’라는 특수성
식민지 영화 국책의 산실, 조선영화제작주식회사
임화의 ‘조선영화론’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