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Ⅰ부 한국어 교육 문법의 정립 9
1장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 설정 11
1. 언어관과 언어 교육 11
2. 한국어 교육의 영역과 문법 교육 18
3.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22
2장 한국어 교육 문법의 성격 32
1. 문법 기술과 교육 문법 32
2. 한국어 교육 문법의 위상 43
3장 규칙으로서의 문법과 사용으로서의 문법 52
1. 문법의 두 측면 52
2. 규칙으로서의 문법 55
3. 사용으로서의 문법 62
4. 한국어 교육 문법에의 적용 69
제Ⅱ부 한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71
4장 한국어 교육 문법의 체계와 내용 기술 73
1. 한국어 교육 문법의 체계 설정 73
2. 한국어 교육 문법의 범주 체계 76
3. 한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기술 82
4. 정리와 전망 95
5장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97
1. 교육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의 원리 97
2.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의 선정 103
3.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의 배열 110
4.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의 체계 115
6장 한국어 교육 문법과 덩이 형태 122
1. 교육 문법에서의 덩이 형태 122
2. 한국어 덩이 형태의 구성 형식 124
3. 의존명사 덩이 형태에 의한 접속문 형성 136
7장 한국어 관형절의 습득 양상 145
1. 관형절의 구성 145
2. 명사 수식절로서의 관형절 153
3. 관형절의 구조적 특징과 습득의 관계 156
4. 정리와 전망 163
제Ⅲ부 한국어 문법의 교수 방법과 절차 165
8장 한국어 문법 교수 방법의 전개 167
1. 언어 교육에서의 교수법 167
2. 언어 교수법의 역사와 문법 교수 방법 170
3. 문형 연습과 과제 활동 179
4. 한국어 문법 교수법의 전망 186
9장 한국어 문법 교수의 절차 188
1. 한국어 문법 교수의 모형 188
2. PPP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수 196
10장 형태 초점 교수법의 적용 209
1. 형태 초점 교수법의 성립 209
2. 형태 초점 교수의 기법 211
3. 목표 문법 항목의 선정 221
4. 교실 적용과 과제의 구성 224
5. 정리와 전망 228
11장 입력 처리 교수 기법의 적용 231
1. 입력 처리 231
2. 처리 교수의 원리 237
3. 처리 항목의 선정과 과제의 구성 240
4. 적용의 문제 248
제Ⅳ부 한국어 교육 문법의 오류 분석과 평가 255
12장 한국어 문법의 오류 분석 257
1. 오류 분석의 일반적 원리 257
2. 문법의 오류 270
3. 한국어 문법 오류 분석의 실제 277
13장 한국어 문법의 평가 287
1. 언어 능력 평가의 일반적 원리 287
2. 문법의 평가 295
3.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문법 평가 302
참고문헌 305
찾아보기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