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Ⅰ 해방 후 기독교세력의 동향과 대한민국 건국운동
1. 들어가는 말
2. 기독교세력 동향과 국가건설론
1) 남북분단과 한국교회의 재건과정
2) 미군정 참여와 정치사회단체 결성
3) 자유민주주의론과 기독교적 국가건설론
3. 기독교세력의 건국운동 흐름
1) 신탁통치 문제와 반탁운동 전개
2)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 참여
3) 정부수립운동과 대한민국 건국
4. 나오는 말
Ⅱ 해방 후 건국준비위원회와 기독교의 역할
1. 들어가는 말: 건국준비위원회 연구의 문제점
2. 중앙의 건국준비위원회의 설립과 저항, 그리고 인민공화국의 등장
1) 건준의 출발과 좌익 주도
2) 건준 내의 기독교인들
3. 북한에서의 건국준비위원회와 기독교
1) 평안남도
2) 평안북도
3) 황해도
4) 함경북도
5) 함경남도
4. 남한에서의 건국준비위원회와 기독ㄱ
1) 전라남도
2) 전라북도
3) 충청북도
4) 충청남도
5) 경상북도
6) 경상남도
7) 경기도
8) 강원도
9) 제주도
5. 해방 이후 건국준비위원회에서의 기독교 역할에 대한 분석
6. 나오는 말
Ⅲ 대한민국 건국기 미국의 대한정책과 주한 선교사들의 역할
1. 들어가는 말
2. 건국과정과 미국의 대한정책
1) 해방과 미국의 역할
2) 분단과 미국의 대한정책
3) 신탁통치와 미국의 대한정책
4) 단정론과 미국의 외교정책 변화
5) 총선과 미국의 외교정책 변화
6) 건국과 미국의 영향
3. 건국과 선교사의 역할
1) 맥아더 사령부의 종교정책과 그 영향
2) 미군정과 선교사의 역할
3) 6·25전쟁과 선교사 및 한국교회의 역할
4. 나오는 말
Ⅳ 1945~1948년 평안도 출신 월남민세력의 분단노선
1. 들어가는 말
2. 평안도 출신 미군정청 한국인 관료층의 분단노선
3. 평안도 출신 월남민들의 분단노선
4. 나오는 말
Ⅴ 대한민국 건국과 기독학생·청년운동
1. 들어가는 말
2. 대한기독학생회 전국연합회
3. 조선기독청년동맹
4. 조선기독청년회 전국연합회
5. 맺는 말
Ⅵ 대한민국 건국과정과 기독교계의 교육운동
1. 들어가는 말
2. 미군정기 한국교육제도의 형성과정
1) 미군정의 두 가지 정책 목표: 자유민주주의와 반공정책
2) 미군정의 교육정책의 방향
3) 미군정기 선교사 자녀들의 역할
4) 학무국의 조직과 변천
5) 한국교육주도 세력의 형성과 역할
6) 한국교육위원회의 조직과 역할
7) 한국교육심의회의 조직과 역할
3. 한국교육제도 형성과정에서 오천석의 역할
1) 오천석의 민주주의와 생활중심의 새교육 정책
2) 국대안개혁 작업
4. 기독교 학교들의 교육활동
1) 기독교 고등교육기관들의 확대
2) 중등교육기관들의 복교와 신설
5. 나오는 말
Ⅶ 대한민국 건국과 기독교 의료
1. 들어가는 말
2. 해방 이후 기독교 의료인의 활동
3. 해방 이후 의료정책의 방향
4. 기독교 의료기관의 공헌
5. 6·25전쟁과 기독교 의료기관의 공헌
6. 전후 복구와 기독교 의료기관의 역할
7. 나오는 말
Ⅷ 건국과 기독교 사회사업
1. 들어가는 말
2. 일제강점기 기독교 사회사업(1910~1945)
3. 미군정기 기독교 사회사업(1945~1948)
4. 정부수립 및 6·25전쟁과 기독교 사회사업(1948~1953)
5. 6·25전쟁 이후 기독교 사회사업(1953~1960)
6. 나오는 말
Ⅸ 대한민국 건국과 기독교인 음악활동 : 해방 후~6·25 기간까지
1. 들어가는 말
2. 해방공간에서 전쟁 전까지의 기독교인 음악 활동
1) 좌우익의 대립과 해방가요, 민족예술 논의
2) 관현악단 활동
3) 성악 활동
4) 어린이에 대한 관심과 음악교육
5) 노래발표와 책 발간
6) 소론
3. 전쟁 중 기독교인 음악 활동
1) 육·해·공군 정훈음악대의 활동
2) 교회성가대와 합창단 활동
3) 군대와 분리된 음악 활동
4) 음악교육
5) 전쟁 중의 노래발표
6) 소론
4. 나오는 말
Ⅹ 건국과 한국기독교 관계의 역사·정치·사회적 맥락 : 아시아 국가, 특히 베트남과 필리핀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민족지도자와 한국기독교의 관계
3. 건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
1) 기독교건국론에 대한 재고
2) 건국과 기독교 내부의 다양한 정치 지형
4. 미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 건국과 친미주의
1) 분단 문제
2) 친일세력 발탁 문제
3) 신탁통치 문제
5. 나오는 말
저자소개